[스크랩] 20년이면 갈 수 있는 제2의 지구 발견
지구에서 약 4광년(약 9조4600억 ㎞) 밖에 떨어져 있지 않은 곳에서 지구와 닮은 행성이 발견됐다. 지금까지 발견된 ‘제2의 지구’ 후보 3000여 개 중 가장 가까운 곳으로, 태양광을 이용한 초소형 우주범선으로 20년 쯤 걸리는 거리다.
길렘 앵글라다에스큐드 영국 런던퀸즈마리대 물리천문학부 교수팀은 스페인 안달루시아천체물리연구소와 미국 카네기워싱턴연구소 등과 공동으로 태양계에서 약 4광년(1광년은 약 9조4600억 ㎞) 거리에 있는 별(항성) ‘프록시마 켄타우리’ 주위를 공전하는 행성 ‘프록시마 b’를 발견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25일자에 발표했다.
프록시마 켄타우리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이다. 세계적인 물리학자인 스티븐 호킹 영국 케임브리지대 명예교수는 올해 4월 열린 기자회견에서 태양광을 이용한 초소형 우주 범선을 활용하면 프록시마 켄타우리 인근에 위치한 별인 4.37광년 거리의 ‘알파 센타우리’까지도 20년이면 도착할 수 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안정적인 대기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 프록시마 b는 질량이 지구의 1.3배인 암석형 행성으로, 11.2일마다 중심별 주위를 한 바퀴 돈다. 연구진은 프록시마 b의 표면 온도가 물이 액체 상태로 존재할 수 있는 0~100도 사이일 것으로 추정했다. 그만큼 생명체가 살 수 있는 가능성도 높은 셈이다.
이전까지 발견된 지구형 행성 중 가장 가까운 것은 지난해 발견된 ‘울프(Wolf) 1061’으로, 지구에서 14광년 떨어져 있었다.
앵글라다에스큐드 교수는 “대부분의 지구형 행성이 수백 광년 거리에 떨어져 있지만, 프록시마 b는 지구와 가장 가까운 지점에 있다는 점에서 이번 발견은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밝혔다.
송경은 동아사이언스 기자 kyungeun@donga.com
영국 런던 퀸메리대학의 길렘 앙글라다-에스쿠데 교수를 비롯한 세계 천문학자들은 24일(현지시간)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행성 중 태양과 최단거리에 있는 외계행성 프록시마 b를 관측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프록시마 센타우리 별 주위를 도는 프록시마 b는 태양으로부터 4.24광년(약 40조1천104㎞) 떨어져 있으며 암석으로 된 지표면에 생명체 존재에 필수적인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유럽남부천문대(ESO)가 제공한 상상도로 적색왜성 '프록시마 센타우리'(왼쪽 발광체)를 공전하고 있는 '프록시마 b'(오른쪽) 사이에 이중별 '알파 센타우리 AB'의 모습이 작게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