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궐 담을 넘어온 ‘고상한’ 말들 2
* 신문에는 지면이 모자라 예시 어휘가 20%도 못나갔다. 여기에는 전량을 옮겨 싣는다.
이재운의 <우리말의 탄생과 진화>
- 궁궐 담을 넘어온 ‘고상한’ 말들 2
궁중어 중에서는 일반인이 따라쓰고 싶은 말이 있는가 하면 궁중이 아니면 전혀 쓰이지 않는 말도 있기 마련이다. 즉 담을 넘어올 만한 궁중어라면 대부분 일반 관리들에게 노출되는 것들인데, 나머지 궁중어는 외부인들에게 결코 노출될 수 없는 은밀한 말들이다. 이런 점에서 궁중어를 은어로 볼 수도 있다.
궁중어라면 고구려, 신라, 백제부터 있었겠지만 아쉽게도 오늘날 접할 수 있는 궁중어는 조선 궁중어밖에 없다. 이마저도 조선왕조가 무너지면서 궁녀나 내관들이 민가로 나오면서 알려진 것들이다.
고려 궁중어의 경우에는 오늘날까지 전해지는 어휘가 드물지만, 고려 왕조의 멸망과 함께 궁궐 밖으로 나온 고려 궁중어 중 상당수는 민간으로 흘러나와 우리말과 뒤섞이거나 조선 궁중어로 옮겨갔을 것이다.
궁중어가 생긴 가장 큰 원인은 왕이라는 지존의 인물에 관련된 말을 특별하게 표현하기 위해서였다. 마치 신전(도관, 사찰, 성당, 교회, 신당 등)에서 신을 받들기 위해 쓰이는 종교어와 마찬가지로, 궁중어 역시 왕권을 높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만들어진 말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조선 궁중어를 살펴보면서 궁중 은어가 어떻게 쓰였는지 느껴보자.
가자(茄子) : 가지.
각부(脚部) : 왕과 왕비의 다리.
각부(脚部) : 왕이나 왕비의 다리
감(鑑)하다 : 왕이 보시다.
감자(柑子) : 왕이 먹을 귤.
감하다(鑑―) : 왕이 보다.
건개 : 건건이, 반찬.
계구릉(啓久陵) : 왕의 시신을 천능(遷陵)하기 위하여 능(陵)을 여는[掘] 행위.
계찬궁(啓欑宮) : 왕의 시신을 산에 매장(埋葬)하기 위하여 빈전(殯殿)을 여는 행위. 빈소가 아니라 빈전임에 유의.
고장자(庫醬子) : 궁중 장독간을 관리하는 우두머리 상궁(尙宮).
곤전(坤殿) : 왕비를 가리키거나 부를 때 쓰는 명칭.
곤전(坤殿) : 왕이 왕비를 부르는 호칭. 후궁일 경우 ○○당(堂), ○○숙의(淑儀)로 부름. 당호(堂號) 또는 작호(爵號)로 부름.
과거(過擧)하다 : 왕이 실수하다. 지나친 행동을 하다.
과인(寡人) : 공적(公的)인 자리에서 왕이 자신을 가리키는 1인칭 표현.
곽탕(藿湯) : 왕이 먹을 미역국.
구순(口脣) : 왕의 입술.
구순(口脣) : 왕의 입.
구이 : 왕이 먹을 고기나 생선을 군 것.
구중(口中) : 왕의 입, 입속.
기노(起怒 : 震怒)하시다 : 왕이 노(怒)하시다.
기미보다 : 먼저 맛보다. 왕, 왕비가 드는 음식은 먼저 수라 상 머리에서 임금이 수라를 들기 전에 반드시 상궁들이 시식(試食)을 하였다.
기별(奇別) : 소식.
기수 : 왕의 이불.
기수 배설(排設)하다 : 왕의 이부자리를 깔다.
기수잇 : 왕의 이불잇.
나 : 왕이 왕비나 후궁에게 자신을 가리켜 부르는 1인칭 호칭.
나리 : 왕자를 부르는 호칭.
나인(內人) : 궁궐 안에서 대전(大殿)·내전(內殿)을 가까이 모시는 내명부(內命婦)의 총칭. 궁인(宮人). 궁녀.
납시다 : 왕이 나오신다.
낭(囊) : 왕의 엽낭(葉囊) 즉 복주머니.
내전(內殿) : 왕이 왕비를 가리켜 부르는 3인칭 호칭. 후궁일 경우 ○○당(堂), ○○숙의(淑儀)로 부름. 당호(堂號) 또는 작호(爵號)로 부름.
너른 봉지 : 왕의 두 다리를 가른 단속곳.
너비아니 구이 : 왕이 먹을 불고기.
다(茶) : 왕이 먹을 숭늉. 차(茶).
다방(茶房) : 다(茶)를 담당하는 궁중 관청.
다회(多繪) : 왕의 궁중에서 짜는 끈. 또는 주머니 끈, 허리띠로도 함.
단니의[單裡衣] : 왕비의 속치마.
대루리 : 다리미
대비전(大妃殿) : 왕이 대비를 가리켜 말하는 2인칭 호칭.
대세수하오시다 : 왕이 손을 씻다.
대자(帶子) : 왕의 허리띠.
대전(大殿) : 왕을 가리키거나 부를 때 쓰는 명칭.
대조 : 왕의 옷고름.
대조(大朝) : 왕을 가리키거나 부를 때 쓰는 명칭.
대조(大棗) : 왕이 먹을 대추.
도어(刀魚) : 왕이 먹을 갈치.
도청(都廳) : 지밀(至密)을 제외한 5개 처소의 총칭.
도침(搗砧) : 다듬이. 다듬이질은 도침질.
동달이 : 왕의 동을 왕의 고유색(노랑과 보라)이 아닌 다른 색으로 단 어린아이 저고리. 동은 저고리로, 왕의 저고리에는 독특한 색으로 표현하는데 이를 색동이라고 한다. 색동저고리는 이러한 왕의 복식에서 유래된 것이다.
동해부인(東海夫人) : 왕이 먹을 홍합(紅蛤).
두굿겁다 : 기쁘다.
두발(頭髮) : 왕의 머리칼.
둥의대(胴衣襨): 왕의 저고리.
듭시다 : 왕이 들어가신다.
마리 : 왕의 머리. 예) 머리를 빗겨드리다 → 마리를 아뢰다
마마1 : 왕을 부르는 호칭
마마2 : 왕이 왕비를 부르는 호칭. 후궁일 경우 ○○당(堂), ○○숙의(淑儀)로 부름. 당호(堂號) 또는 작호(爵號)로 부름.
마마3 : 왕이 대비를 부르는 호칭.
매우(梅雨) : 왕의 대변(大便).
매우틀 : 왕의 변기(便器). 높이 30cm 남짓한 목제(木製) 상자로, 3면(面)이 쓰레받기 형으로 막히고 1면이 터지고, 그 밑에 구리 그릇을 넣었다. 이것이 소변, 대변용 변기(便器)이다. 양쪽의 발을 딛는 곳은 우뚝하게 나무를 괴어서 그 위를 빨간 우단으로 쌌다. 이 매우틀은 침실과 편전(便殿), 정사(政事)를 보는 곳 3개소에 하나씩 놓아 두었다고 한다. 이 매우틀을 전담하는 사람은 세수간(洗手間) 나인(內人)으로서 항상 이것을 반짝반짝 윤이 나게 닦았다.
매화(梅花) : 왕의 대변. 매우와 같다.
매화틀 : 왕의 변기. 매우틀과 같다.
메습쇼 : (왕에게) 진지를 잡수십시오.
면(麵) : 왕이 먹을 국수.
면부(面膚) : 왕의 얼굴.
목주(木主)마마 : 왕, 왕비의 위패(位牌).
뫼어라 : 왕을 모시어라. 가지고 오라.
무렴자 : 솜을 두어 누빈 커텐.
문안(問安)이 게오시다 : 왕이 편찮으시다.
물어주다 : 왕이 하사(下賜)하다.
미령(靡寧)하시다 : 왕이 편찮으시다.
미안하다 : 서운하다.
밧집 : 민가.
배자(褙子) : 왕의 조끼.
백설고 : 왕이 먹을 백설기.
법복(法服) : 예복. 승가의 예복도 법복이라고 한다.
보경(寶經) : 왕비의 월경.
보자(褓子) : 보재기.
봉지 : 왕이나 왕비의 바지
부견주 : 네 손잡이가 달린 발 없는 솥.
부정한 곳(不淨―) : 화장실.
비수(鼻水) : 왕의 콧물.
빈궁(殯宮) : 동궁(東宮)과 빈궁(嬪宮)의 영안실(靈安室).
빈전(殯殿) : 왕이나 왕비의 유해(遺骸)를 안치(安置)해두는 전각(殿閣).
빗(色) : 궁중에서 허드렛일을 하는 사람들.
사색(辭色) : 왕의 표정, 기분(氣分).
산진이 : 산에서 야생하는 매.
상(常)없다 : 버릇없다.
상감(上監) : 왕을 가리키거나 부를 때 쓰는 명칭.
상실(上室) : 사당[別宮]의 지밀(至密).
서과(西瓜) : 왕이 먹을 수박.
성교(聖敎) : 임금의 명령, 말씀. 교지(敎旨).
성궁(聖躬) : 임금의 신상(身上).
성권(聖眷) : 임금의 신임(信任).
성노(聖怒) : 임금의 노여움.
성려(聖慮) : 임금의 심려(心慮)
성명(聖明) : 임금의 판단력, 총명(聰明).
성상(聖上) : 왕을 가리키거나 부를 때 쓰는 명칭.
성심(聖心) : 임금의 마음.
성은(聖恩) : 임금의 은혜.
성의(聖意) : 임금의 생각.
성체(聖體) : 임금의 신체(身體).
성학(聖學) : 임금의 학문, 학식.
성후(聖候) : 임금의 건강.
소고의 : 왕비의 저고리
소세 나오시다 : 왕이 세수를 다 하셨다.
소세 듭시다 : 왕이 세수하신다.
소신(小臣) : 왕이 대비에게 자신을 가리켜 부르는 호칭.
소첩 : 왕의 빗접(머리를 손질하는 도구를 넣는 함).
소화반 : 소화제. 예) 소화제를 주십시오 → 소화반 하나만 물어 주옵소서
송송이 : 깍두기.
수건(手巾) : 수건.
수긴 : 수건(手巾)
수라(水剌) : 임금의 진지.
수라 나아오시다 : 왕이 진지를 잡수시다. ‘진어(進御)’라고 이르기도 한다.
수라 듭시다 : 왕이 진지를 잡수시다.
수라 잡수오너라 : 왕에게 진지 상 올려라. 상궁이 아랫사람에게 명령하는 말.
수부수하오시다 : 왕이 양치질하다.
수조(手爪) : 왕의 손톱.
수지(手指) : 왕의 손톱.
수지(手指) : 왕의 손가락.
수진이 : 어린새끼를 잡아다가 집에서 길들인 매.
상(上) : 왕을 가리키거나 부를 때 쓰는 명칭.
승하(昇遐) : 왕, 왕비의 별세(別世).
시저(匙箸) : 왕이 먹을 수저.
씻오신다 : 왕이 씻으신다.
아니꼽다 : 마음에 끌리지 않다.
아모라타 없이 : 왕이 측량할 길 없이.
안수(眼水) : 왕의 눈물.
안정(眼精) : 왕의 눈.
안정(眼精) : 왕의 눈썹.
안정(眼精) : 왕의 눈.
액상(額上) : 왕의 이마.
어(御)하다 : 왕이 집에 살다. 살다. 계시다.
어상(御床) : 임금의 수랏상.
어수(御手) : 왕의 손.
어전(御前) : 임금의 앞.
어정(御井) : 임금이 마시는 우물.
어제(御製) : 임금의 시문(詩文).
어제(御題) : 임금이 내린 시(詩)의 제목.
어주(御酒) : 임금이 권하는 술.
어진(御眞) : 임금의 초상화. 사진.
어진(御進)하시다 : 잡수시다.
어찰(御札) : 임금의 편지.
어하다(御―) : 왕이 행동하다
엄색(嚴色) : 왕이 화가 난 표정.
여(余) : 왕이 신하들에게 글을 써 보일 때 자신을 가리키는 1인칭 표현.
예덕(睿德) : 왕세자의 덕(德).
예질(睿質) : 왕세자의 기질.
예학(睿學) : 왕세자(王世子)의 학문.
예후(睿候) : 왕세자의 건강.
오목이, 오목다리 : 왕의 버선목에 끈이 달린 어린아이 버선.
옥루(玉淚) : 왕과 왕비의 눈물.
옥수(玉手) : 왕의 손. 어수(御手)와 같이 사용.
왕대비전(王大妃殿) : 왕의 어머니를 가리키거나 부를 때 쓰는 명칭.
요녀틀 : 재궁(梓宮) 즉 왕과 왕비의 관을 옮길 때 쓰는 바퀴 달린 기구(器具).
용금치(龍金赤) : 용포(龍袍)에 다는 흉배(胸背) 및 보(補).
용려(用慮)하다 : 왕이 걱정하시다.
용루(龍淚) : 왕과 왕비의 눈물.
용상(龍牀) : 임금의 좌상(座牀), 혹 그 지위(地位).
용안(龍顔) : 왕의 얼굴
용안(龍眼) : 임금의 눈.
용포(龍袍) : 임금의 예복(禮服). 임금의 소례복(小禮服)에 해당함. 앞뒤에 용(龍)을 수(繡)놓은 흉배(胸背) 및 양어깨에는 역시 같은 모양의 보(補)가 달려 있어서 나온 말이다.
운혜(雲鞋) : 왕의 신발.
웃전 : 왕이 대비를 가리켜 말하는 2인칭 호칭.
의궤(儀軌) : 궁중 행사의 기록.
의대(衣襨) : 왕의 옷. 나중에 무당의 옷을 가리킴.
의대차(衣襨次): 왕의 옷을 지을 옷감.
이부(耳部) : 왕의 귀.
이어(移御)하다 : 왕이 거처(居處)를 옮기다.
인산(因山) : 왕, 왕비의 관을 산에 매장하는 것.
입시(入侍) : 왕의 부름에 대비하여 가까운 데서 기다리다.
자작한다 : 왕의 옷감을 재단(裁斷)한다.
자전(慈殿) : 왕이 대비를 가리켜 말하는 2인칭 호칭.
장과 : 장아찌.
장꼬방(醬庫房) : 궁중 안에 장독대가 있는 곳.
장똑똑이 : 왕이 먹을 섭산적을 만들어 3. 5cm 4각형으로 잘라서 간장에 싱겁게 졸여서 그 간장에 띄운 것.
재궁(梓宮) : 왕, 왕비, 왕대비, 세자, 세자빈의 관(棺).
재실(梓室) : 세자, 세자빈의 관(棺).
저(箸) : 왕이 수라를 들 때 쓰는 젓가락.
적(炙) : 왕이 먹을 느르미, 우육(牛肉: 쇠고기), 도라지, 파, 버섯, 등을 꼬치에 끼워서 타원형으로 부친 것. 이 형태의 빈자떡은 꼬치 없이 크게 부친 것.
전유아(煎油魚) : 왕이 먹을 전야, 간(肝) 전야. 생선 전야.
젖국지 : 왕이 먹을 김치.
조라치(詔羅赤/照羅赤) : 궁중의 화부(火夫).
조리개 : 장조림.
조리니 : 왕이 먹을 조림.
조보(朝報) : 소식. 궁중에서 매일 발행한 신문 형태의 문서.
조치 : 국물을 바특하게 만든 찌개나 찜 따위.
조치 : 왕이 먹을 찌개.
족건(足巾) : 왕의 버선.
족장(足掌) : 왕의 발(발등, 발바닥 등 모두 쓰임).
주상(主上) : 왕을 가리키거나 부를 때 쓰는 명칭.
주의(周衣) : 왕의 편복(便服), 웃옷.
준시(蹲柹) : 왕이 먹을 곶감. 건시(乾枾), 꼬챙이에 끼지 않고 말린 감.
줌치 : 왕의 주머니.
중궁전(中宮殿) : 왕비를 가리키거나 부를 때 쓰는 명칭.
중전(中殿) : 왕비를 가리키거나 부를 때 쓰는 명칭.
지 : 왕의 소변(小便), 또는 요강.
진어(進御)하다 : 왕이 잡수시다.
천추절(千秋節) : 왕이 왕세자의 생일.
청(淸) : 왕이 먹을 꿀.
청태(靑苔) : 왕이 먹을 파래.
청포(淸泡) : 왕이 먹을 묵.
초도(初度) : 돌. 어린 왕자녀(王子女)의 생일.
초려(焦慮)하다 : 왕이 몹시 걱정하시다.
치 : 왕의 신, 또는 상투.
치사(致詞) : 왕에게 드리는 축하문
침(枕) : 왕의 베개.
침수 드오시다 : 왕이 주무시다.
침수(寢睡) : 왕이 주무시다.
침채(沈菜) : 왕이 먹을 김치.
탄일(誕日) : 왕이 임금의 생신(生辰)날. 왕비의 탄일은 ‘중전(中殿) 탄일’. 불가의 석탄일(釋誕日)과 같은 유형이다.
탕(湯) : 왕이 먹을 국.
탕제(蕩劑) : 왕이 먹을 약.
통기(通氣) : 왕의 방귀.
편 : 왕이 먹을 시루떡.
편숙의 : 왕이 먹을 떡국.
편침채(片沈菜) : 왕이 먹을 나박김치.
프디 : 왕의 요.
하저(下箸)하다 : 왕이 수저를 드시다. 식사를 하시다.
한삼(汗衫) : 왕의 적삼.
한우(汗雨) : 왕의 땀
행보(行步) : 왕이 걷다.
혈(血) : 왕이 흘리는 피.
환경(環經) : 왕비의 월경(月經).
후(后) : 왕비를 가리키거나 부를 때 쓰는 명칭.
후수(後水): 왕이 쓰는 뒷물.
휘건(揮巾) : 내프킨.
휘견치마 : 행주치마.
이재운(소설가․『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어원 500가지』대표 저자)
- 다음 제목 / 송나라 사람이 기록한 고려시대 우리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