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실의 힘/디지털 史草(사초)

고려백자, 본격 복원 사업의 숨통이 트이다

백자가 우리나라에서 처음 생산된 곳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서리다.

유물 조사를 통해 신라말에서 고려 초기 사이에 생산된 것으로 확인된 우리나라 최초의 백자 유적지는 '고려백자 요지'란 명칭으로 불리는데, 그간 발굴조사만 해놓은 채 오랜 동안 방치되어 있었다. 용인군(발굴당시 인구 8만명)이 감당하기에는 워낙 큰 역사유적인데 그간 정부지원이 없어 안타까웠다. 


그러다가 올해 처음으로 용인시의 강력한 요청으로 <고려백자 요지>의 가치를 인정한 문화재청이 요지 관련 기초 예산을 마련해주었다. 아직은 주변 땅을 매수하고 재발굴하는 정도의 예산이지만, 일단 국가 차원에서 관심을 가져준 데 대해 용인고려백자연구소 차원에서 큰 감사를 드린다.


용인고려백자연구소는 작년에는 고려백자 복원 재현 행사를 갖고, 고려백자의 가치에 대해 널리 알린 바 있다. 올해 겨울에는 고려백자에 쓰인 백토가 어디서 생산되었는지 발굴할 예정으로 있다.


용인시 이미지를 100만 시답게 가꿔보려 노력해온 정찬민 용인시장이 문화융성 차원에서 추진해온 <최초의 고려백자 요지터>와 세계 유일의 대몽 항쟁지인 <처인성>, 그리고 신라시대 유적지인 <보정동 고분군>까지 한꺼번에 묵은 숙제를 풀어내었다. 이제야 문화시장의 자격을 제대로 갖춘 셈이다.

천년 문화의 옷을 입을 때 용인시도 100만 시민에 걸맞는 품격을 갖추는 것인데, 그간 인구 증가에 떠밀려 너무 웃자라다보니 우선 순위에 밀려 문화가 소홀한 면이 있어 늘 우울했는데, 이제야 마음이 놓인다.


- 용인고려백자 복원 재현 전시회(2015.10)

용인 서리 요지는 우리나라 최초로 백자를 생산했으며, 세계에서 가장 긴 가마를 갖고 있어

현재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를 추진 중이다.


- 용인시 기흥구 보정동의 신라시대 고분군. 이 시대에 80여기의 신라 지배 계급 고분이 

중부지방인 용인 지역에서 발견되었다는 사실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곳에서 가까운 석성산성에서는 

천자만이 지낼 수 있는 천제를 지낸 유적이 발견되기도 했다. 강화도 마니산 참성단처럼 용인 석성산성에서도 천제를 지낸 것이다.


- 이곳이 바로 세계 역사상 유례없는 전적지다. 몽골군을 이긴 군대도 없거니와 몽골군 총사령관이 전투 중 전사한 사례도 없는데, 

바로 이곳 처인성에서 몽골군 사령관 살리타이가 김윤후 등 처인성 의병들이 쏜 화살에 맞아 죽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