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5.31 - 1회 / '질질 끌다'의 질질이 무슨 뜻?
-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우리말 백과사전 / 이재운 / 책이있는마을 / 304쪽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말 잡학사전 / 이재운 / 노마드 / 552쪽 / 24년 28쇄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말 어원사전 / 이재운 / 노마드 / 552쪽 / 23년 28쇄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 한자어 사전 / 이재운 / 노마드 / 편집중
'질질 끌다'의 질질이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 부사로 쓰이는 질질과 선생질, 도둑질, 갑질이라고 할 때의 질, 그리고 질서의 질은 어원이 같다.
한자로 질(秩)이다.
질(秩)이란 발해에서 신하들의 등급을 표시하는 말로 쓰였다. 즉 정1품, 정2품 등의 품(品)이라는 용어를 질(秩)이라고 하였다.
중국에서도 질은 연봉이나 계절별로 나눠주는 녹봉(祿俸)이란 뜻으로 쓰였다.
불교에서도 불사를 할 때 담당한 일에 따라 연화질(緣化秩), 산중질(山中秩), 화주질(化主秩), 육소질(六所秩)로 나누어 기록한다.
질서(秩序)는 품계나 녹봉의 차이를 가리키는 말이다. 질이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 사이에는 곧 차례가 있다는 의미다.
질질 끌다는 말은, 봉건시대에 녹봉을 받는 관리들이 이유없이 업무를 늦추는 일이 많아 여기에서 시간이 지체된다는 뜻으로 나왔다. 따라서 질질은 시간이 늘어지는 걸 표현하는 부사다. 하는 일마다 붙는 질은 오늘날에는 품계나 녹봉과 상관없이 어떤 일을 맡아서 한다는 뜻으로 자리를 잡았다.
질서(秩序)는 순조롭게 이뤄지는 차례나 순서를 가리키는 말이 되었지만, 원래는 품계나 녹봉에 차이가 난다는 의미였다. 즉 계급이 높은 사람이 낮은 사람을 다스리듯 계급의 차례에 따라 일이 맞물려 잘 이뤄지는 것을 가리킨다.
47회 / 교양과 교육, 대체 뭐가 다른데?
46회 / 구정이란 말 쓰지 말라
45회 / 우리말의 '과거' 표현법은 무엇인가?
44회 / 나전칠기란 무엇인가?
43회 / 왜 한나라를 한국(漢國), 원나라를 원국(元國)이라고 안쓸까?
42회 / 제사도 안지내면서 형은 무슨 형?
41회 / 김 여사라고 부르지 말라
40회 / 1404년 1월 11일부터 점심을 먹었다
39회 / 세계라는 말에 이렇게 깊은 뜻이?
38회 / 상(商)나라는 어쩌다 장사하는 상(商)이 됐을까?
37회 / 수덕사 불상 뱃속에서 뭐가 나왔다고?
36회 / 대충대충 설렁설렁 얼렁뚱땅, 이래 가지고는 안된다
35회 / 점심 먹으면서 정말 점심(點心)은 하는 거야?
34회 / 불고기가 일본말이라고?
33회 / 메리야스가 양말이라고?
32회 / 대체 왜 욱일기라고 불러주나?
31회 / 나라는 1945년 8월 15일에 해방되지만 법률은 1961년 1월 1일에 해방되었다
30회 / 가수 윤복희는 정말 미니스커트를 입고 비행기 트랩을 내려왔을까?
29회 / 500년 전 한자 읽는 방법을 알려준 최세진 선생
28회 / 도우미란 아름다운 어휘는 누가 만들었을까?
27회 / 척지지 말라? 뭘 지지 말라고?
26회 / 천출 김정은? 김씨 일가가 천민 출신인가?
25회 / 茶를 다로 읽을까, 차로 읽을까?
24회 / 대웅전? 불상 밖에 없던데 무슨 웅이 있다는 거지?
23회 / 오매불망? 2018년에도 이런 말 써야 하나?
22회 / 유명을 달리하다? 뭘 달리하는데?
21회 / 재야(在野)는 뭐하며 사는 사람인가?
20회 / 인민(人民)? 누가 인(人)이고 누가 민(民)인가?
19회 / 은행? 왜 금행이라고 부르지 않았을까?
18회 / 육개장의 개는 무슨 뜻일까?
17회 / 우위를 점하다? 뭘 어쨌다고?
16회 / 용빼는 재주? 용 한 마리 잡나?
15회 / 권력(權力)이란 어떤 힘을 가리키나?
14회 / 아직도 창씨개명하는 사람들이 있다
13회 / 왜구가 아기발도(阿其拔都)로 불리게 된 이야기
11회 / 망하다? 망하면 뭐가 어떻게 되는데?
10회 / 조계종? 조계가 무슨 뜻인데?
9회 / 선거? 선은 무엇이고 거는 무엇인가?
8회 / 골백번은 대체 몇 번이란 말일까?
'이재운 작품 > 태이자 우리말 사전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몇 살이나 돼야 생신이라고 부를 수 있나? (0) | 2018.06.02 |
---|---|
효자(孝子)는 누구를 가리키나? (0) | 2018.06.01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말 잡학사전 (0) | 2018.05.30 |
100년 된 산삼 발견, 감정가만 1억? (0) | 2018.05.08 |
鴻鵠 잘못 읽어 망신당한 베이징대 총장 (0) | 2018.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