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란태양/*파란태양*

<6.25전쟁>을 <한국전쟁>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에게

오늘은 6.25전쟁 66주년 기념일이다.
그런데 KBS 등 주요 매체들이 <한국전쟁>이란 정체불명 용어를 쓰고 있다. 지식인들도 거리낌없이 <한국전쟁>이라고 한다.위키백과도 한국전쟁이라고 쓰며, 정치인들도 대개 그렇게 말한다. 특히 좌파지식인들은누구누구 할 것없이 거의 다 한국전쟁이라고 부른다.

한국이 무슨 전쟁을 일으켰길래 이런 식으로 부르는지 그 까닭을 모르겠다. 이것은 마치 6.25전쟁을 <남침>이라고 가르쳐 놓으니까 <남한이 침략>한 것으로 이해하는 요즘 학생들 뇌구조와 비슷하다. 육이오전쟁을가리켜 북한은 <조국해방전쟁>, 중국은 <미국에 맞서 조선을 도운 전쟁抗美援朝戰爭>, 일본은 <朝鮮戰爭>라고 부른다. 우리 국호가 한국임을 잘 아는 일본이 저런 명칭을 쓰는 건 모욕 의도도 있다고 보지만, 중국과북한은 자기들 입장에서는 명확한 것이다.

* 일본의 경우 : 일본은 육이오전쟁으로 기사회생했다. 유엔군이 쓰는 물자는 대개 일본에서 조달했다. 한국에서 일어난 이 비극으로 일본은 완전히 망한 나라에서 태평양전쟁 이전 수준으로 거뜬히 회복되어, 전쟁이 끝나자마자 선진국으로 일어났다. 가장 비통한 부분이다. 항일전쟁했다는 김일성이 죽은 일본을 부활시키는 X맨 짓을 한 것이다.

하지만 우리 남한 입장에서는 절대로 <한국전쟁>이라고 하면 안된다.
그런 의미에서 <6.25전쟁>의 뜻을 정리해본다.

우선 전쟁이 발발한 1950년 당시 북한은 국가가 아니었기 때문에 <6.25동란>이라고 표기되었다. 전쟁이나난이 일어난 해의 60갑자나 그 달, 그 날을 표기하는 건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관습이다.
다만 북한은 국제법상 국가로 인정되지 않았고, 우리 헌법에도 북한 지역은 우리땅으로 돼 있어서 일종의 반란 정도로 규정한 것이다. 그래도 김일성의 난이라고 하지 못한 것은 소련군, 중공군이 대규모로 참전했기 때문에 그것도 안된다.
수백만 명이 죽고 <한국+16개국의 전투지원> 대 <북한+2개국 전투지원>이 있던 세계전을 동란이라고 할 수는 없어 곧 육이오사변으로 고쳤다.
그러다가 1991년 남북한이 동시에 유엔에 가입하면서 북한을 국가로 인정할 수밖에 없어 사변 대신 전쟁이 들어가 <6.25전쟁>이 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오늘 현재 공식 명칭은 <6.25전쟁>이다. 육이오전쟁이라고 적어도 된다.

현재 외국에서는 <Korean War>가 이 전쟁의 공식 명칭인데, 참전국의 입장에서는 당연하다. 월남전, 쿠웨이트전, 아프가니스탄전 등 우리가 관련된 전쟁은 그 나라 국호를 사용한다.

1998년 우리 정부는 미국의 질문을 받고 <Korean War>를 <6.25전쟁>으로 번역한다고 공식 회신하였다. 미 국방부에 공식 통보된 것이다. 따라서 Korean War를 번역기에 돌리면 6.25전쟁이라고 나와야 맞다.

* 구글에서 6.25전쟁이라고 치면 영어로 Korean War로 번역되는데, 영어로 Korean War를 치면 한국전쟁으로 나온다. 하긴 구글, 애플은 독도를 다케시마라고 알려주는 정도이니....

2000년에는 우리 정부가 <6.25전쟁>으로 명칭 통일했다. 동란, 사변이 아닌 전쟁으로 규정한 것이다.
2004년 4월에는 교육부에서 교과서 편수용어로 역시 <6.25전쟁>이라고 확정하였다.
2010년 <6.25전쟁제60주년기념위원회> 공식 명칭으로 사용되었다.

그렇다면 우리말사전은 6.25전쟁이라고 규정한 것이다. 그런데도 자꾸만 한국전쟁이라고 하는 건 대체 무슨 속셈인지 모르겠다. 미국을 그렇게 싫어하는 사람들조차 한국전쟁이라고 말한다. 다시 말하지만 한국전쟁이란 용어는 대한민국 밖에서 쓰는 용어다. 우리는 6.25전쟁이라고 해야 맞다.


국 명

파병자수(명)

전사자수(명) 

미국 

1,600,000 

36,492 

영국 

56,000 

1,177 

캐나다

27,000 

516 

터키 

14,936 

1,005 

호주

8,407 

346 

필리핀 

7,500 

120 

태국 

6,326 

136 

뉴질랜드 

5,350 

41 

네덜란드 

5,320 

124 

콜롬비아 

5,100 

213 

그리스 

4,440 

186 

프랑스 

3,760 

270 

벨기에 

3,590 

106 

이디오피아 

3,518 

122 

남아공

900 

37 

덴마크 

630 

노르웨이 

623 

3

스웨덴 

380 

인도 

346 

이탈리아 

185 

룩셈부르크 

89 

유엔군 총계

1,754,400 

40,896

 


육이오전쟁 피해 현황

(1) 한국군 및 유엔군 인명 피해

(단위 : 명)

구분전사부상실종/포로
776,360178,569555,02242,769
한국군621,479137,899450,74232,838
유엔군154,88140,670104,2809,931

출처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알아봅시다!> 6.25전쟁사(3권), 2005, p.144.

(2) 육·해·공군 전/사망·실종자·부상자 현황

(단위 : 명)

구분육군해군(해병포함)공군
608,033598,813138
전/사망137,899135,858138
실종자19,39219,392-
부상자450,742443,634-

출처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피해통계집>, 1996, pp.33~34.

(3) 북한군 인명 피해

(단위 : 명)

출처문헌총계사망실종/포로비전투손실비고
한국전란 4년지607,396508,79798,599--
군사정전위 편람640,000520,000120,000--
미군자료801,000522,000102,000177,000사망에 부상포함

출처 : 국방군사연구소, , <한국전쟁피해통계집>, 1996, p.144.

(4) 한국 추정 중공군 인명 피해

(단위 : 명)

구분전투손실비전투손실
972,600369,600603,000
사망148,600135,60013,000
부상798,400208,400590,000
실종3,9003,900-
포로21,70021,700-

출처 : 국방군사연구소, <한국전쟁피해통계집>, 1996, p.145.

(1)부상(비전투손실)에는 질병에 의한 입원치료자(447만명)을 포함.

(2)미국의 자료(The US Military Experience in Korea 1971~1982, James P. Finley, 1983, p.88)에 의하면, 총피해 123만여 명으로 26만 여명의 차이가 있음.

(5) 피난민 현황

(단위 : 명)

구분1951. 3. 현재(가)1951. 5. 현재(나)1953. 4. 현재(다)
6,514,5825,758,4352,611,328
서울128,400-40,219
경기1,729,5161,661,312804,030
충북700,300270,051156,713
충남760,477802,572275,932
전북329,032414,103326,331
전남523,125577,737156,929
경북1,383,208575,292229,089
경남558,496521,414440,415
강원330,800987,160161,311
제주71,228148,79420,359

출처 : (가) 국방부, <한국전란 1년지>, 1951, p.D35
(나) 국방부, <한국전란 1년지>, 1951, p.D37
(다) 국방부, <한국전란 3년지>, 1954, p.D6

(6) 인명 피해현황(1950. 6. 25~53. 7. 27)

(단위 : 명)

구분사망학살부상납치행불
총계990,968244,663128,936229,62584,532303,212
서울129,90829,6288,80034,68020,73836,062
경기128,74039,7287,51125,47916,05739,965
충북70,00324,3203,40912,6586,31223,304
충남75,40923,7075,56120,29010,02215,829
전북91,86140,46214,21615,3647,21014,609
전남193,78814,19369,78752,1684,17153,469
경북97,85135,4856,60921,0617,58427,112
경남72,30619,9636,09932,4171,84111,986
강원130,77717,1226,82515,48310,52880,819
제주32555119256957

출처 : 내무부 통계국, <대한민국 통계연감>, 1955, pp.212~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