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란태양/양극성장애-우울증-정신질환

자폐증과 우울증

우울증이나 조울병(양극성정동장애)은 다른 듯 비슷하다. 남성보다 주로 여성들에게 많이 나타난다.

우울증 에피소드 중에 조증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우울증 중에서도 '깊은 우울증'이 자폐증에서 나타나는 것같다. 자폐증 특징 중 하나는 여성보다 남성들에게서 3배~5배 많이 나타난다는 점이다.


오늘의 주제는 자폐증 환자가 앓는 우울증이다.

자폐증은 1000명 중 1명의 어린이에게 나타나는데, 주로 36개월 이전에 발병한다. 우울증이나 조울병이 훨씬 나중에 나타나는 것에 비해 매우 특이한 점이다.

그러다보니 인간상호관계부재가 심해서 누구하고도 정서적인 유대감을 못느낀다. 알파고처럼 머리로만 계산할 뿐 감정이 교류되지 않는다.

조울병처럼 원인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발달장애 범주에 넣는다.

자폐증 환자는 사회적 상호작용 장애, 의사소통 및 언어장애, 행동장애 등을 나타낸다. 그래서 누구를 설득하려 하지 않고, 설득당하지도 않는다. 오직 혼자 생각하고 혼자 결정한다. 그러다 보니 특정 분야에서 천재적인 능력을 보이기도 하지만 그밖의 분야에서는 매우 미숙하고 어설프다. 공부를 아무리 잘해도 큰 의미가 없을 수 있다. 과학분야에서는 자기 능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이따금 생기는 '깊은 우울증'을 극복하기가 어렵다.


자폐증은 일단 현재 수준에서는 완치가 불가능하다. 우울증과 양극성정동장애, 뇌전증 등의 치료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는 것에 비해 자폐증 치료 기술은 별로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지능이 좋은 아동은 성인이 된 후 독립생활이 가능한 경우가 많다. 다만 관계, 소통, 공감 능력이 매우 떨어진다.

독립생활을 하는 경우에도, 이따금 깊은 우울증에 빠져 체념을 하거나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자폐아 의심되는 몇 가지 특징

1.손가락질을 하지 않는다. 
2.다른 사람과 눈을 자주 마주치지 않는다. 
3.언어 표현이 어색하다.
4.특정한 것에 대한 집착이 강하다. 
5.반복적인 것에 대한 열망이 있다.


- 자폐아 이미지


- 영화 레인맨에서 자폐증 환자 연기 중인 더스틴 호프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