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17 - 10회 / 조계종? 조계가 무슨 뜻인데?
-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우리말 백과사전 / 이재운 / 책이있는마을 / 304쪽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말 잡학사전 / 이재운 / 노마드 / 552쪽 / 24년 28쇄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말 어원사전 / 이재운 / 노마드 / 552쪽 / 23년 28쇄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 한자어 사전 / 이재운 / 노마드 / 편집중
대한민국 어느 사찰이고 사찰 이름 앞에 꼭 산 이름이 붙는다.
금정산 범어사, 화산 용주사, 영취산 통도사, 오대산 월정사...
그런데 서울 도심 한복판에 있는 조계사는 산 이름이 없다.
도시라서?
봉은사는 수도산, 개운사는 안암산이다. 산 없는 절은 없다.
조계사는 왜 산이 없을까?
이유를 찾아들어가자면 조계가 무슨 뜻인지 먼저 알아야 한다.
송광사와 선암사가 조계산에 있으니 그 조계일까?
송광사지 보조국가 비명에 1204년 송광사의 전신인 수선사를 지었는데 이때 고려 국왕 희종이 현판을 써주었다 한다. 원래 산 이름이 송광산이었는데 이때 조계산으로 바뀐 것이다. 선암사도 이 무렵에 조계산 선암사로 바꾸었다.
조계산이 등장한 내력을 송광사지에는 이렇게 적었는데, 당연히 신빙성이 없다.
- 『당나라의 고종(高宗) 용삭원년(龍朔元年) 신유(辛酉)년(신라문무왕원년 661)에 대감(혜능)선사가 6조를 제수(除授)하여 황매법인(黃梅法印)을 받아 전패(傳佩)하고 표연(飄然)히 금책(金策)을 던져서 영남의 소조부 조후촌에 이르렀을 때 그곳에 살고 있던 조서량(曹叙良)이 스님의 덕을 흠모하여 인근에 있는 수말(隋末)의 병화(兵火)로 폐허가 된 쌍계(雙峯大溪)의 보림(寶林) 고사(古寺)터에 범찰(梵刹)을 세우고 대사님을 모시니 은성(殷盛)한 보방(寶坊)이 되었다.
9개월 가량을 주석하고 나서 떠나면서 시은(施恩)하기 위하여 조숙량의 성
‘조’와 쌍계의 ‘계’를 따서 산의 이름을 지으니 이것이 중국 조계산의 유래이다』
- 여기가 진짜 조계산이다. 6조 혜능 스님이 머물던 산이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2.21-40회 / 1404년 1월 11일부터 점심을 먹었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2.19-39회 / 세계라는 말에 이렇게 깊은 뜻이?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2.4-38회 / 상(商)나라는 어쩌다 장사하는 상(商)이 됐을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1.1-37회 / 수덕사 불상 뱃속에서 뭐가 나왔다고?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28-36회 / 대충대충 설렁설렁 얼렁뚱땅, 이래 가지고는 안된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17-35회 / 점심 먹으면서 정말 점심(點心)은 하는 거야?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13-34회 / 불고기가 일본말이라고?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10-33회 / 메리야스가 양말이라고?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3-32회 / 대체 왜 욱일기라고 불러주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3-31회 / 나라는 1945년 8월 15일에 해방되지만 법률은 1961년 1월 1일에 해방되었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29 - 30회 / 가수 윤복희는 정말 미니스커트를 입고 비행기 트랩을 내려왔을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28 - 29회 / 500년 전 한자 읽는 방법을 알려준 최세진 선생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21 - 28회 / 도우미란 아름다운 어휘는 누가 만들었을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8 - 27회 / 척지지 말라? 뭘 지지 말라고?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5 - 26회 / 천출 김정은? 김씨 일가가 천민 출신인가?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5 - 25회 / 茶를 다로 읽을까, 차로 읽을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8.29 - 24회 / 대웅전? 불상 밖에 없던데 무슨 웅이 있다는 거지?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8.24 - 23회 / 오매불망? 2018년에도 이런 말 써야 하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8.23 - 22회 / 유명을 달리하다? 뭘 달리하는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9 - 21회 / 재야(在野)는 뭐하며 사는 사람인가?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9 - 20회 / 인민(人民)? 누가 인(人)이고 누가 민(民)인가?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9 - 19회 / 은행? 왜 금행이라고 부르지 않았을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9 - 18회 / 육개장의 개는 무슨 뜻일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6 - 17회 / 우위를 점하다? 뭘 어쨌다고?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4 - 16회 / 용빼는 재주? 용 한 마리 잡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30 - 15회 / 권력(權力)이란 어떤 힘을 가리키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7 - 14회 / 아직도 창씨개명하는 사람들이 있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7 - 13회 / 왜구가 아기발도(阿其拔都)로 불리게 된 이야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4 - 12회 / 애도하다? 뭐가 슬픈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3 - 11회 / 망하다? 망하면 뭐가 어떻게 되는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17 - 10회 / 조계종? 조계가 무슨 뜻인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15 - 9회 / 선거? 선은 무엇이고 거는 무엇인가?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14 - 8회 / 골백번은 대체 몇 번이란 말일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9 - 7회 / 골로 가다? 죽어서 골짜기로 가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8 - 6회 / 간발의 차이? 어느 정도 차인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6 - 5회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그게 뭔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6 - 4회 / 가냘프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 - 3회 / 몇 살이나 돼야 생신이라고 부를 수 있나?
'이재운 작품 > 태이자 우리말 사전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도하다? 뭐가 슬픈데? (0) | 2018.06.24 |
---|---|
망하다? 망하면 뭐가 어떻게 되는데? (0) | 2018.06.23 |
선거? 선은 무엇이고 거는 무엇인가? (0) | 2018.06.15 |
골백번은 대체 몇 번이란 말일까? (0) | 2018.06.14 |
골로 가다? 죽어서 골짜기로 가나? (0) | 2018.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