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4 - 12회 / 애도하다? 뭐가 슬픈데?
-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우리말 백과사전 / 이재운 / 책이있는마을 / 304쪽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말 잡학사전 / 이재운 / 노마드 / 552쪽 / 24년 28쇄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말 어원사전 / 이재운 / 노마드 / 552쪽 / 23년 28쇄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 한자어 사전 / 이재운 / 노마드 / 편집중
정치인 김종필 씨가 숨지면서 애도란 단어가 많이 나온다.
애도(哀悼)라는 단어는 또 표(表)를 끌고다닌다. 그래서 애도를 표한다고 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래가지고서야 우리나라 말이라고 할 수 없다. 이건 중국어를 단순히 옮긴 아주 나쁜 말이 된다. 우선 표하다는 말은 쓰지 말아야 한다. 아직도 중국의 속국에 사는 줄 알고 쓰는 어줍잖은 지식인들의 헛소리다.
11회에서 사망의 뜻을 풀었는데, 김종필 씨는 死에 해당되는 것으로, 우리말로는 동물의 경우 '죽었다', 사람의 경우 높임말로 '돌아가셨다'고 한다. '셨' 때문에 높임말을 쓰기 싫다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사람이 죽으면 벼슬도 한 칸 높아지고, 격도 한 칸 올라가는 법이다. 살아서는 못쓰던 임금의 가마를 탈 수 있는데, 상여가 바로 그것이다. 그러니 '셨'이 기분나쁘다고 돌아가셨다는 표현을 꺼리면 안된다.
애도(哀悼)의 애(哀)는 누가 죽어서 슬퍼하는 것이다. 도(悼) 역시 누가 죽어서 슬퍼하는 것이다. 한자는 거의 두 자로 이뤄지므로 비슷한 뜻의 한자가 많다. 일곱 살이 아직 안되어 죽어서 슬픈 것이 도(悼)인데 더 살아야 할 사람이 일찍 죽어 슬프다는 뜻이다. 자녀까지 두고 어지간히 살다 죽은 사람을 슬퍼하는 것은 애(哀)가 된다. 그래서 애자(哀子)라고 하면 부모가 죽어 상을 치르고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한편 '김종필 씨가 92세를 일기로 타계했다'는 표현도 나오는데 여기서 일기는 1기(期)는 100살을 가리키는 말로, 옛날에는 사람의 수명을 백 살로 보고 '한 인생'이란 뜻으로 기(期)라는 말을 썼다. 굳이 이런 표현을 쓸 필요가 없다. 사람마다 일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또 고(故)는 일기가 끝난 사람, 즉 죽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인데, 굳이 죽은 사람 이름 앞에 이 한자를 달 필요가 없다. 굳이 쓴다면 상을 마칠 때까지만 쓰고, 그 다음에는 버리는 게 좋다.
- 왕이 타면 어가가 되고, 죽은 사람이 타면 상여가 된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2.21-40회 / 1404년 1월 11일부터 점심을 먹었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2.19-39회 / 세계라는 말에 이렇게 깊은 뜻이?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2.4-38회 / 상(商)나라는 어쩌다 장사하는 상(商)이 됐을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1.1-37회 / 수덕사 불상 뱃속에서 뭐가 나왔다고?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28-36회 / 대충대충 설렁설렁 얼렁뚱땅, 이래 가지고는 안된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17-35회 / 점심 먹으면서 정말 점심(點心)은 하는 거야?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13-34회 / 불고기가 일본말이라고?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10-33회 / 메리야스가 양말이라고?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3-32회 / 대체 왜 욱일기라고 불러주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3-31회 / 나라는 1945년 8월 15일에 해방되지만 법률은 1961년 1월 1일에 해방되었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29 - 30회 / 가수 윤복희는 정말 미니스커트를 입고 비행기 트랩을 내려왔을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28 - 29회 / 500년 전 한자 읽는 방법을 알려준 최세진 선생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21 - 28회 / 도우미란 아름다운 어휘는 누가 만들었을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8 - 27회 / 척지지 말라? 뭘 지지 말라고?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5 - 26회 / 천출 김정은? 김씨 일가가 천민 출신인가?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5 - 25회 / 茶를 다로 읽을까, 차로 읽을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8.29 - 24회 / 대웅전? 불상 밖에 없던데 무슨 웅이 있다는 거지?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8.24 - 23회 / 오매불망? 2018년에도 이런 말 써야 하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8.23 - 22회 / 유명을 달리하다? 뭘 달리하는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9 - 21회 / 재야(在野)는 뭐하며 사는 사람인가?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9 - 20회 / 인민(人民)? 누가 인(人)이고 누가 민(民)인가?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9 - 19회 / 은행? 왜 금행이라고 부르지 않았을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9 - 18회 / 육개장의 개는 무슨 뜻일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6 - 17회 / 우위를 점하다? 뭘 어쨌다고?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4 - 16회 / 용빼는 재주? 용 한 마리 잡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30 - 15회 / 권력(權力)이란 어떤 힘을 가리키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7 - 14회 / 아직도 창씨개명하는 사람들이 있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7 - 13회 / 왜구가 아기발도(阿其拔都)로 불리게 된 이야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4 - 12회 / 애도하다? 뭐가 슬픈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3 - 11회 / 망하다? 망하면 뭐가 어떻게 되는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17 - 10회 / 조계종? 조계가 무슨 뜻인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15 - 9회 / 선거? 선은 무엇이고 거는 무엇인가?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14 - 8회 / 골백번은 대체 몇 번이란 말일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9 - 7회 / 골로 가다? 죽어서 골짜기로 가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8 - 6회 / 간발의 차이? 어느 정도 차인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6 - 5회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그게 뭔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6 - 4회 / 가냘프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 - 3회 / 몇 살이나 돼야 생신이라고 부를 수 있나?
'이재운 작품 > 태이자 우리말 사전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직도 창씨개명하는 사람들이 있다 (0) | 2018.06.27 |
---|---|
우리말 사전 로고와 심벌 (0) | 2018.06.25 |
망하다? 망하면 뭐가 어떻게 되는데? (0) | 2018.06.23 |
조계사는 무슨 산 조계사일까? (0) | 2018.06.17 |
선거? 선은 무엇이고 거는 무엇인가? (0) | 2018.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