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재운 작품/태이자 우리말 사전 시리즈

재야(在野)는 뭐하며 사는 사람인가?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9 - 21회 / 재야(在野)는 뭐하며 사는 사람인가?

-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우리말 백과사전 / 이재운 / 책이있는마을 / 304쪽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말 잡학사전 / 이재운 / 노마드 / 552쪽 / 24년 28쇄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말 어원사전 / 이재운 / 노마드 / 552쪽 / 23년 28쇄

- 알아두면 잘난 척하기 딱 좋은 우리 한자어 사전 / 이재운 / 노마드 / 편집중


재야라는 우리 한자어가 있다.

조선시대 우리 선비들은 사람을 두 부류로 나누었다. 공무원과 서민.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임금이 불러주면 앉는 영의정 내지 판서급과 종3품 이상의 '가마꾼이 메는 가마 타는 공무원'이 輿, 그나마 '집에서 왕명을 기다리는 사람'은 다 野다.

그래서 가마 타고 출퇴근하는 공무원 輿와 들판에서 때를 기다리는 野만 있다. 요즘에도 국가에서 대신 월급 내주는 운전기사가끌어주는 승용차를 타고 출퇴근하는 사람이 與가 된다.


재야가 성공하는 길은 딱 3가지다.

집권여당(도량형을 재는 기준인 저울추 무게를 결정하는 '가마 타고 다니는 사람들')에 아부질하여 뽑혀가는 수가 있다. 야당이면서 줄곧 임금을 향해 침이 마를 때까지 칭찬을 하고, 시를 쓰고, 산문을 지어 퍼뜨린다. 조선시대 중기 정철이 이런 과요, 야당 의원이면서 용비어천가를 부른 정의당 노회찬, 민주평화당 박지원 같은 류다. 아부와 아첨에는 반드시 보상이 따르는 게 인간 세상의 법칙이다. 그래서 종질하는 사람이 많은데, 남의 털을 골라주고 배를 뒤집어 살랑거리는 종질도 자연계의 생존법칙 중 하나다.


두번째 재야가 성공하는 길은 싸워서 이기는 것이다. 세조쿠데타, 중종반정, 인조반정, 영조와 노론의 쿠데타, 순조 때 안동김씨 세도, 이하응의 궁중 쿠데타 등이 그 예다. 나는 인조반정에 참여한 집안 후손이라 이 길을 좋아한다. 내 손으로 내가 이루고자 노력한다.


세번째는 마냥 때를 기다리는 사람이다. 개자추처럼 깊은 면산에 들어가 왕명이 오기를 학처럼 모가지 길게 늘어뜨리고 기다리는 형이다. 김영삼은 정계은퇴 선언 후 낚시질하다 동지들의 부름을 듣고 돌아오고, 김대중은 정계은퇴하여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에서 노닐다가 지지자들의 호소를 듣고 돌아와 각각 대통령이 되었다. 손학규는 만덕산에 들어갔지만 때를 맞추지 못하는 너무 늦게 혹은 너무 빠른 걸음으로 내려왔다 길을 잃고, 이회창은 미국에 갔지만 마음이 급해 후딱 돌아오는 바람에 두 번이나 기회를 놓쳤다. 국민의 간절히 부를 때 나와야 하는데, 마음이 급한 사람은 결코 그러질 못한다. 


재야라도 권력욕을 버리고 풀과 나무를 벗삼아 공부하는 게 제일인데, 진짜로 비워야 기회가 올지 말지한데, 그 이치를 모르고 욕심으로 배를 채우니 나이 먹을수록 '목아지'만 길어진다. 

* 목은 사람에게, 모가지는 동물에게 쓰는 말이다. 목아지는 목을 가리키는 경상도 사투리다.


- 김대중은 1992년 대선 실패 뒤 영국 캠브리지로 숨었다. 그러고는 거의 아무도 만나지 않다가 

몇몇 사람만 만나 저울질하다 나중에 돌아와 기어이 대통령이 되었다.

노무현은 외로운 처지의 김대중 씨를 영국으로 찾아가 위로를 드렸다. 이런 인연은 2002년 그의 대통령 당선으로 이어진다.

수가 낮은 사람들은 은거한답시고 하는 일없이 온갖 방송, 기자 다 불러들여 잡담이나 늘어놓으며 눈치나 살피다가 스스로 망한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2.21-40회 / 1404년 1월 11일부터 점심을 먹었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2.19-39회 / 세계라는 말에 이렇게 깊은 뜻이?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2.4-38회 / 상(商)나라는 어쩌다 장사하는 상(商)이 됐을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1.1-37회 / 수덕사 불상 뱃속에서 뭐가 나왔다고?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28-36회 / 대충대충 설렁설렁 얼렁뚱땅, 이래 가지고는 안된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17-35회 / 점심 먹으면서 정말 점심(點心)은 하는 거야?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13-34회 / 불고기가 일본말이라고?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10-33회 / 메리야스가 양말이라고?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3-32회 / 대체 왜 욱일기라고 불러주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10.3-31회 / 나라는 1945년 8월 15일에 해방되지만 법률은 1961년 1월 1일에 해방되었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29 - 30회 / 가수 윤복희는 정말 미니스커트를 입고 비행기 트랩을 내려왔을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28 - 29회 / 500년 전 한자 읽는 방법을 알려준 최세진 선생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21 - 28회 / 도우미란 아름다운 어휘는 누가 만들었을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8 - 27회 / 척지지 말라? 뭘 지지 말라고?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5 - 26회 / 천출 김정은? 김씨 일가가 천민 출신인가?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9.5 - 25회 / 茶를 다로 읽을까, 차로 읽을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8.29 - 24회 / 대웅전? 불상 밖에 없던데 무슨 웅이 있다는 거지?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8.24 - 23회 / 오매불망? 2018년에도 이런 말 써야 하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8.23 - 22회 / 유명을 달리하다? 뭘 달리하는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9 - 21회 / 재야(在野)는 뭐하며 사는 사람인가?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9 - 20회 / 인민(人民)? 누가 인(人)이고 누가 민(民)인가?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9 - 19회 / 은행? 왜 금행이라고 부르지 않았을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9 - 18회 / 육개장의 개는 무슨 뜻일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6 - 17회 / 우위를 점하다? 뭘 어쨌다고?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7.4 - 16회 / 용빼는 재주? 용 한 마리 잡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30 - 15회 / 권력(權力)이란 어떤 힘을 가리키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7 - 14회 / 아직도 창씨개명하는 사람들이 있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7 - 13회 / 왜구가 아기발도(阿其拔都)로 불리게 된 이야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4 - 12회 / 애도하다? 뭐가 슬픈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3 - 11회 / 망하다? 망하면 뭐가 어떻게 되는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17 - 10회 / 조계종? 조계가 무슨 뜻인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15 - 9회 / 선거? 선은 무엇이고 거는 무엇인가?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14 - 8회 / 골백번은 대체 몇 번이란 말일까?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9 - 7회 / 골로 가다? 죽어서 골짜기로 가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8 - 6회 / 간발의 차이? 어느 정도 차인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6 - 5회 / 같은 값이면 다홍치마, 그게 뭔데?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6 - 4회 / 가냘프다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2 - 3회 / 몇 살이나 돼야 생신이라고 부를 수 있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6.1 - 2회 / 효자(孝子)는 누구를 가리키나?

태이자 우리말 사전 2018..5.31 - 1회 / '질질 끌다'의 질질이 무슨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