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수덕사의 가풍을 별로 좋아하지 않아 경허든 만공이든 별로 관심이 없었는데, 몇년 전 방장 설정(총무원장하던 중에 유전자 감식한다며 입 따악 벌린 사진보고 깜짝 놀란)의 면목을 구경하고는 우리 불교에 그림자나 메아리나 신기루가 많다는 걸 다시 느꼈다.
그래도 오늘날 한국 불교의 선맥은 경허 스님과 그 제자들인 만공, 수월, 혜월, 한암 스님 등이 일으켜 세운 바가 약간은 있으니 천장암은 그런대로 중요한 불교역사 유적이다.
경허 송동욱 스님은, 동학사에서 참선하다 깨달은 것으로 믿고 이 깨달음을 보림하겠다여 이곳 천장암에 18개월 정도 머물렀다는데, 지금도 그 흔적이 또렷이 남아 있다. 180Cm 키를 가진 경허가 참선하던 방을 들여다보니 한 몸 눕히고 나면 바늘 하나 세울 여유가 없다(1.3m X 2.3m, 참고로 서대문형무소 독방은 가로세로 2m) 오직 참선하는 방일 뿐이다.
그 느낌은, 제주 서귀포의 이중섭 집터에서 네 식구가 부대끼며 살던 작은 방을 보던 그대로다. 이중섭네 작은 방은, 아버지만 보면 새끼 새처럼 입 딱딱 벌리는 자식들을 제대로 먹이지 못해 게나 잡아먹이며 네 식구가 부둥켜 안고 살던 슬프고 가난한 집이지만, 경허의 참선 방은 비록 작지만 반듯하고 깨끗하다. 게다가 시자 만공, 수월, 혜월이 수발드는 제법 큰 방이 딸려 있고, 부엌도 근사하다. 때되면 밥 지어 바치고, 차 우려 내미는 시자와 제자들이 있는데 무엇이 아쉬우랴(이때 경허 스님의 나이 31세 ㅋ)
1980년 광주항쟁으로 대학문이 닫혀 있을 때 <목불을 태워 사리나 얻어볼까>를 썼는데, 이 중에 경허가 깨달았다고 주장하는 부분이 있다.
참선 중에 공양미를 싣고 온 처사들이 절마당에서 떠드는 소리가 들려온다.
“중이 보시를 받아먹고도 깨우치지 못하면 보시한 집의 소가 되어 죽도록 일을 하며 그 은혜를 갚아야 한다지?”
“공부라도 하면 그건 좀 낫지. 공부마저 게을리하며 허송세월한 중은 콧구멍도 없는 소가 되어 그 은혜마저 갚지 못한다네.”
'콧구멍도 없는 소가 된다'는 데서 깨우쳤다고 기록이 되어 있다.
경허는 승복과 가사를 벗어던지고 삼수갑산에서 난주란 이름으로 서당 훈장 노릇을 하다가 56세에 사망했다.
* 경허 스님이 보림(깨달은 뒤 이를 다지는 수행, 붓다도 반야를 깨우친 뒤 보리수 나무 아래에 더 앉아 있으면서 확인하고 또 했다)하던 선실에 잠시 앉아 아나파나를 하려는데, 방석에 온갖 곤충의 시신이 시커멓게 깔려 있어 기분이 어떤지 잠시만 앉아 보았다. 이 사진은 싣지 않는다.
'붓다의 사람들 > 절 많이 다니면 깨달으려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혜결사문 (1) | 2023.03.09 |
---|---|
이제 사찰 순례는 그만할란다 (0) | 2018.12.03 |
미얀마 명상 다큐멘터리 촬영 마치고 돌아왔습니다 (0) | 2018.11.28 |
보시 많이 하면 부처되나? (0) | 2018.09.15 |
"마하가섭, 그는 나와 같은 경지에 이르렀다" (0) | 2018.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