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란태양/*파란태양*

체벌은 아니어도 뭔가는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난 폭력 교육을 받고 자란 세대에 속한다.

내가 중고등학교를 다니 1970년대는 유신교육으로 무장한 폭력 교사들의 전성시대였다.

고등학교 1학년 때, 교련 교사라는 놈이 하도 때려서 온 학생들이 다 그를 저주했다.

툭하면 군홧발로 짓밟고 지휘봉으로 엉덩이를 내갈겼다. 따귀는 수시로 맞아 늘 얼얼했다.

내 친구 하나는 기어이 그놈하고 맞붙어 싸운 뒤 학교를 그만두고,

그놈 탓은 아니지만 나도 그 학교를 버리고 다른 학교에 재입학했다.

30년이 더 지난 지금 생각해도 그놈이 고함치는 장면이 생생하고, 치가 떨린다.

그놈, 아직 살아 있는지는 모르지만 고생 좀 많이 해서 인권이 뭔지  깨달았으면 좋겠다.

 

그런 내가 체벌은 몰라도 이와 비슷한 형태의 뭔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를 말해야겠다.

<전에 체벌을 반대한다고 쓴 글이 있다. 읽어보기>

아시다시피 교육은 국민의 의무다. <의무교육>이라고 한다.

그런데 좌파 교육감들은 밥 먹이는 데만 정신 팔지(전면무상급식 주장이 순수한 의도에서 나온 게 아니고 표 때문에 저런다고 보지만. 자기들도 예산 없다는 거 다 안다.) 정작 교육 본질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을 하지 않는 것같다. 좌파들의 특징이 항상 주제를 보지 않고 부제를 보고, 본질을 보지 않고 곁가지를 보는 것이다.

급식 문제로 떠들던 좌파 교육감들은 이번에는 인권 문제로 떠들기 시작한다.

나도 내 자식을 학교에 보내봐서 알지만 요즘 아이들을 무식하게 두드려 패는 교사는 없다.

좀 교육 본질에 대해 연구했으면 좋겠다.

그러기 싫으면 교육감이라고 하지 말고 노동감, 진보감이라고 해야 맞다.

 

앞서 교육은 의무라고 했다. 내가 한 말, 내 주장이 아니라 헌법에 명시된 것이다.

그런데 의무를 이행하거나 하게 할 생각은 하지 않고 자꾸 딴 얘기만 한다.

교사들은 학생들에게 교육 의무를 이행하라고 촉구하는 분들이다.

그런데 학생들이 이 의무를 게을리하거나 거부하거나 딴 길로 가면 마땅히 제지를 가해야 한다.

그 방법이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약간의 자극은 필요하다고 본다.

쪼그려뛰기나 토끼뜀이나 운동장 달리가 같은 거는 괜찮다고 본다.

두 손 좀 쳐들었다고 몸이 다치거나 병에 걸리지도 않는다.

이런 걸 체벌이라고 보면 안된다.

운동장 뛰다 더러 죽거나 기절하는 학생이 나올 수도 있지만 그거 무서워 못하면 안된다.

그런 체력으로는 교육 의무를 이행할 수가 없다.

 

용어가 문제인 모양인데 체벌이든 간접체벌이든 이런 용어는 폭력 이미지를 불러오니 가급적 쓰지 말고 군대처럼 얼차려나, 다른 말을 만들어 써도 좋다.

결국 정신 차리라는 말인데, 나도 군에서 얼차려를 받아보았지만 적당한 얼차려는 군기를 세우는데 큰 도움이 된다.

게으름을 물리치는데는 얼차려가 그만이다. 혼자 알아서 하려니 싶어도 나도 나를 통제하기 힘든 법이다.

공자도 혼자 있을 때 더 조심하라고 경책한 바 있다. 혼자 알아서 한다는 게 얼마나 힘든가.

특히 학생들은 미성년이다. 자신의 행동을 책임질 수 없는 미성년이라서 모든 법적 책임을 부모가 지잖는가.

휴대폰 계약이며, 병원 입원이며, 거의 모든 결정권이 부모에게 위임돼 있잖은가.

그런데 그런 아이들에게 왜 그리 큰 걸 요구하는가.

 

지금 좌파 교육감들이 <교육의 의무>라는 사실을 잠시 잊고 공부를 뒷전으로 밀어낸 듯한 느낌이 든다.

시험도 보지 말라, 한 가지만 잘 해도 된다, 학원 보내지 마라, 사교육 시키지 마라, 들리는 말이라곤 이처럼 공부하지 말라는 말 뿐이다.

공교육을 살려보겠다는 의지도 안보인다.

교실마다 아이들이 졸고 있지만 일부러 모른 척한다.

 

아이들이 공부를 하지 않으면 다른 <국민의 의무>도 이행하지 못하는 국민으로 큰다.

납세 의무도 제대로 지지 못할 것이고, 더 나아가 다른 사람이 낸 세금이나 깎아먹는 복지대상자로 살아가야 할지도 모른다.

그러지 않아도 우리 사회에는 장애인, 중증환자, 노인 등 반드시 복지가 필요한 분들이 많다.

그런데 멀쩡히 의무교육받고 사회에 나온 사람들이 단지 경제력이 없다는 이유로 복지기금을 빼먹으면 안된다. 그러면 정작 복지가 필요한 분들이 손해를 본다.

내가 아는 한 사람은 일류대 나오고, 유학 갔다 오고, 일류회사 근무 경험까지 있는데도 어렵게 살아가고 있다. 그 자신은 늘 독서하면서 장마가 지는지, 눈이 내리는지 모르고 공부한다. 이런 인재가 방치되어 있는 것은 본인도 손해고, 국가적으로도 대단한 손실이다.

교육이 잘못됐든지 제도가 잘못됐기 때문에 이러는 것이다. 그런 사람들을 사회로 끌어내 건실한 납세자로 만들어내야 한다.

 

이처럼 교육은 성실한 납세자로, 바른 국민으로 길러내는 국가사업이다.

공부를 하든 말든 내버려둘 것이면, 교실에서 학생들이 졸든 자든 방치할 것이면 세금 안내는 국민은 왜 그리 몰아세우는가.

세금은 반드시 내야 하는 것처럼, 세금 안내면 각종 처벌이 잇따르는 것처럼 교육을 게을리해도 마찬가지 처벌이 뒤따라야 한다.

교육 의무를 이행하지 않으면 자기 자신만 불편한 게 아니라 사회와 이웃에 부담을 지우게 된다.

결국 공부 안한 사람을 위해 공부를 열심히 한 다른 사람들이 세금내서 그의 복지를 챙겨줘야 하기 때문이다. 서로 얼굴을 몰라서 그렇지 누군가 다른 사람을 먹여살리기 위해 세금을 더 많이 내야만 한다.

성실한 국민이 낸 세금이 바르게 쓰이면, 국가발전을 위해 재투자되면 얼마나 좋은가.

 

경기도의 무한돌봄 사업 같은 경우, 위기에 빠진 개인이나 가정을 돕는 것인데, 그 목적이 간단하다.

법의 혜택을 보지 못하는 이런 사회적 약자가 위기에 빠졌을 때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조금만 도와줘도 큰 힘이 된다.

약간의 도움으로 그분들을 다시 납세의무를 이행하는 건전한 국민으로 돌려놓자는 것이 무한돌봄사업이다.

도움받는 사람에서 도움주는 사람으로 바꿔주자는 것이다.

 

이처럼 교육이야말로 국민이 져야 할 근본이자 기본 의무다.

교육이 안되면 나머지는 볼 것도 없다.

 

대한민국이 경제대국으로 성장한 배경에는 교육의 힘이 크게 작용했다.

대다수의 교사들은 대한민국의 초석을 쌓은 분들이고, 지금도 쌓고 있는 분들이다.

사회에 내보냈을 때 이 학생이 어떻게 살아갈 수 있을까,

세계무대에 나가 글로벌 인재로 어울릴 수 있는지 자꾸 물어가면서 아이들을 가르쳐야 한다.

시험 보는 날, 애들 데리고 산으로 들로 나가 환경교육 시키는 게 반드시 좋은 교육이라는 편견은 버려야 한다.

시험을 그렇게 거부하면서 결국 대학 입학 시험이나 입사 시험 경쟁이 저토록 치열한 것에 대해서는 일언반구 비치지도 못하잖은가.

전교조 교사들 자신도 임용고시라는 무지막지하게 어려운 시험을 통과한 분들이 아닌가.

그런데 아이들에게는 시험을 보지 못하게 하고, 평가받지 못하게 하고, 그저 음풍농월이나 하라는 식으로 굴어서는 안된다.

"어차피 세금은 부자들이 낼 테니 너희들은 마음껏 받아 써라." 이건 아니잖은가.

나라 망치려고 작정하지 않은 다음에야 <교육> 본질에 충실하기 바란다.

교육은 국민의 의무라는 사실을 절대로 잊지 말아야 한다.

그러기 위해 공부 안하는 학생들을 방치 방임하지 말고, 진심으로 다가가기 바란다.

학생들을 원수보듯 혹은 돌이나 자갈 보듯 자든지 말든지 떠들든지 말든지 공부하든지 말든지 못본 척하면 그게 죄를 짓는 것이다.

교사란 학생을 가르치는 사람이다.

그리고 교사가 받는 월급, 그 학생들의 부모가 내주는 것이다.

소비자가 누군지 제대로 알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