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재운 작품/태이자 우리말 사전 시리즈

‘뜻도 모르고 쓰는 우리말 숙어사전’ 출간

* 1994년부터 해오는 작업인데, 처음에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500가지>로 시작해 올해 마침내 4권<우리말, 한자어, 어원, 숙어>로 정리했습니다. 우리나라 문학이 세계문학이 되지 못하는 이유가 어휘 개념이 고정되어 있지 않아 대충 쓰고, 대충 알아듣는 데 있다고 보고 이 작업을 해온 지 벌써 14년이 됐습니다. 직업 소설가로 20여년 살아오다 보니 우리말이 얼마나 소중한지 뼈저리게 느낄 수 있었습니다. 또 다른 작가들이 쓴 글을 보고도 해당 어휘를 알고나 썼을까 싶은 표현이 너무 많아 과연 번역이 될 수 있는 표현인지 궁금한 적도 많았습니다. 이번에 세 권은 이미 나왔던 것을 개정증보한 것인데, 숙어사전만은 우리나라 최초로 나온 것입니다. 웃기잖습니까? 중학생만 돼도 영어숙어사전을 끼고 다니는데, 제 나라 숙어사전 하나 없이 살아왔다는 게 이상하지 않습니까? 이걸 국어학자가 아닌 이 소설가가 해서 미안하기는 한데, 그이들이 직무유기를 하니 저라도 나서야 하지 어떡하겠습니까.
현재 발간된 4권 말고도 지금 사전류 대여섯 권을 더 만드는 중입니다. 틈틈이 하다 보니 늦어지네요. 여럿이 작업하다 보니 돈도 들고요. 열심히 좋은 자료 찾고, 분석해서 예쁘게 쓸모있게 만들어내겠습니다. 워낙 방대한 양이다 보니 더러 틀리는 부분도 있을 겁니다. 꼭 지적해주셔서 다음에 고칠 수 있도록 도와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이번 개정증보판은 예담출판사에서 아주 예쁘게 만들어주셨군요.
===================================
‘뜻도 모르고 쓰는 우리말 숙어사전’ 출간
입력: 2008년 10월 09일 17:43:57
 

중국 명나라를 세운 주원장의 부인 마(馬)씨는 전족을 하지 않아 발이 컸다. 당시는 작은 발을 소각(小脚)이라 하여 미인의 필수조건으로 여겼다. 마씨는 큰 발이 창피스러워 항상 감추고 다녔다. 어느날 수레에서 내리다가 그만 실수로 발이 드러나고 말았다. 마씨의 발, 즉 ‘마각(馬脚)’이 드러난 것이다. ‘마각이 드러나다’라는 관용어가 생긴 내력이다.

‘내숭을 떨다’의 ‘내숭’은 ‘내흉(內凶)’에서 나왔다. 엉큼하고 흉한 것이 내흉이다. 또 ‘퇴짜를 놓다’라는 표현은 조선시대 조정으로 올려보내는 물건의 품질이 떨어질 경우 ‘퇴(退)’자가 새겨진 도장을 찍은 데서 유래했다.

일상생활에서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관용어의 다양한 용례와 의미를 설명한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숙어 1000가지>(예담)가 나왔다. ‘가는귀(가) 먹다’부터 ‘힘(이) 닿다’까지 1114개 관용어 표현을 실었다. <소설 토정비결>의 작가 이재운씨가 기획·편찬한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 시리즈 4권째다. 이번에 기존에 출간됐던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1000가지>와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 한자어 1000가지>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어원 500가지>의 개정판과 함께 세트로도 출간됐다. 세트 7만8000원

<김진우기자 jwkim@kyunghyang.com>

-----------

  • 재주 잘 부리면 살판 난다?
  •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숙어 1000가지
    이재운·구미라·이인옥 엮음 |예담 | 687쪽 |2만원
  • 신용관 기자 qq@chosun.com
    입력시간 : 2008.10.10 22:13

    • 우리말 '낭패를 보다'에서 '낭패'는 무슨 뜻일까. 낭(狼)과 패(狽)는 각각 전설상에 나오는 이리로서 낭은 태어날 때부터 뒷다리가 없거나 아주 짧은 반면 패는 앞다리 두 개가 없거나 짧다. 둘이 함께 걸으려면 웬만큼 사이가 좋지 않고서는 넘어지기 십상이다. 그래서 '낭패'는 반드시 함께 있어야 할 것들 중에 하나가 빠져서 일이 잘 되지 않을 때 그 안타까움을 표현하는 말이 되었다.

      '살판이 나다'에서 '살판(-板)'이란 과거에 남사당패와 같은 광대들이 부리던 고난도의 재주를 가리키는 말이다. 묘기가 너무 위험하여 '잘하면 살 판이고 못하면 죽을 판이다'는 말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 책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말들 가운데 특히 청소년이나 외국인들이 따로 배우지 않고는 말귀를 알아듣는 데 어려움이 있을 것 같은 어휘 1114개를 추려 사전 형식에 담았다. 읽다 보면 우리나라 관용어의 재미를 한껏 느낄 수 있다.

      이전에 출간돼 있던 《우리말 1000가지》, 《우리 한자어 1000가지》, 《우리말 어원 500가지》등과 함께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 시리즈를 이루고 있다.
       -------------------
  • 뜻도 모르고 쓰는 우리말·한자어·어원·숙어

    뉴시스 | 기사입력 2008.10.10 18:35

    ");}catch(e){}

    【서울=뉴시스】
    올바른 한국어 활용을 위한 우리말 생활백서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예담) 시리즈 4권이 나왔다. 논술을 준비하는 학생, 우리말을 가르치는 교사, 어휘력이 부족한 직장인, 작가 지망생 등에게 요긴한 우리말 활용백서다.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1000가지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는 말이지만 정작 그 의미를 제대로 알지 못하는 말을 소개한 우리말 속뜻 사전이다. 단어 1008개를 사전 식으로 풀이했다. 말의 유래와 변천 과정을 재미있는 사례와 함께 소개한다. 1994년 초판 출간 이래 개정, 증보해 이번까지 3판 19쇄를 냈다. 이재운·박숙희 지음, 696쪽, 2만원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 한자어 1000가지
    우리말 속 한자어의 생성 과정과 현재의 의미로 바뀌게 된 역사적 배경을 담은 한자어 본뜻 사전이다. 일상적으로 자주 쓰는 한자를 가려 뽑아 어원에서 변천 과정까지 자세히 밝혀 이해를 돕는다.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 한자어 500가지', '알쏭달쏭 주제별 한자어 500가지'로 구성돼 있다. 모양, 동작, 상황, 부호를 나타내는 한자 413개를 설명한 '한자가 만들어진 재미있는 원리'가 부록이다. 이재운·조규천 지음, 664쪽, 2만원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어원 500가지
    우리말의 생성과 소멸 과정을 추적했다. 유래와 변천 과정을 시대별로 설명하고 잘못 사용된 예를 제시했다. 인문학적 교양을 필요로 하는 독자들을 위한 우리말의 족보, 역사서다. 국내외 다양한 문헌 자료를 근거로 백과사전이 제공하지 않는 풍부한 상식과 정보를 담았다. 이재운·박숙희·유동숙 지음, 560쪽, 1만8000원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숙어 1000가지
    우리말 숙어의 다양한 용례와 의미를 꼼꼼하게 짚어준다. 아무 생각 없이 흔히 쓰는 말들의 올바른 의미와 활용법을 다양한 예시문과 함께 수록했다. 우리말의 다양한 느낌과 쓰임새를 풍성하게 보여주는 생활 속 관용어 어휘 사전이다. 우리말의 탄생 배경, 변천 과정을 살펴보면서 고유한 정신과 문화의 근원까지 엿볼 수 있다. 이재운·구미라·이인옥 지음, 688쪽, 2만원

    윤근영기자 iamygy@newsis.com

     

    --------------

    [책과 길] 돈은 왜 ‘金行’ 아닌 ‘銀行’에 맡기게 된 걸까

    [2008.10.10 17:55]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사전(전 4권)/이재운 외/예담

    시치미를 뗀다의 시치미는 무슨 뜻일까. 갈매기살은 갈매기 고기가 아니다? 총각김치와 총각의 상관관계는? 현수막과 플래카드의 차이를 아시는지? 하룻강아지는 태어난 지 하루밖에 안 된 강아지가 아니라는데….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1000가지'(이재운·박숙희 공저)는 우리말에 대한 갖가지 궁금증을 풀어주는 한국어 완전정복 사전이다. 1994년 초판이 나온 이후 개정판을 거듭하면서 우리말 어휘 사전의 규범으로 자리매김했다. 이번에 증보판과 함께 우리말 어원, 우리 한자어, 우리말 숙어까지 보태 총 4권의 시리즈가 출간됐다.

    '…우리말 어원 500가지'(이재운·박숙희)는 일상생활에서 많이 사용하는 단어들의 유래를 살펴봄으로써 우리말의 뿌리를 찾아나선다. 깍쟁이의 원래 뜻은 거지였고, 메리야스는 양말에서 유래했으며, 청양고추는 청양에서 나는 고추가 아니고, 돈을 맡기는 곳이 금행(金行)이 아니라 왜 은행(銀行)인지 등 우리말의 역사를 소개한다.

    '…우리 한자어 1000가지'(이재운·조규천)는 강(江)과 하(河)의 차이, 미망인(未亡人)을 쓰면 안 되는 이유, 심봉사의 봉사(奉事)는 무슨 의미인지, 파경(破鏡)은 이혼이 아니라 헤어질 때 다시 만날 것을 언약하는 징표였다는 사실 등을 흥미롭게 풀어낸다.

    '…우리말 숙어 1000가지'(이재운·구미라·이인옥)는 우리말의 다양한 느낌과 쓰임새를 보여주는 관용어 어휘사전이다. '가는귀가 먹다' '마각이 드러나다' '낭패를 보다' '살판이 나다' '주접을 떨다' '퇴짜를 놓다' 등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숙어(관용어)의 의미를 설명하고 예문을 실었다.

    이광형 선임기자 / 국민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