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록의 힘/가던 길 멈추고 2016

어머니 외던 신묘장구대다라니(원문, 번역)

신묘장구대다라니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사다바야 마하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옴 살바 바예수 다라나 가라야

다사명 나막 까리다바

이맘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니라간타

나막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살발타 사다남 수반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야 미수다감

다냐타

옴 아로계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하례

마하모지 사다바 사마라

사마라 하리나야

구로구로 갈마

사다야 사다야

도로도로 미연제

마하미연제 다라다라

다린나례 새바라 자라자라

마라 미마라

아마라 몰제 예혜혜

로계새바라 라아 미사미 나사야

나베사 미사미나사야

모하자라 미사미 나사야

호로호로 마라호로 하례

바나마 나바

사라사라 시리시리 소로소로

못쟈못쟈 모다야 모다야

매다라야 니라간타

가마사 날사남

바라 하라나야 마낙 사바하

싯다야 사바하

마하싯다야 사바하

싯다유예 새바라야 사바하

니라간타야 사바하

바라하 목카싱하 목카야 사바하

바나마 하따야 사바하

자가라 욕다야 사바하

상카섭나네 모다나야 사바하

마하라 구타다라야 사바하

바마사간타 니사시체다

가릿나이나야 사바하

먀가라 잘마이바 사나야 사바하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사바하 (3)

 

<번역>

신묘장구대다라니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 가장 거룩한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합니다

 

나모(namo) : 귀의한다는 의미. 귀명(歸命)과도 같은 의미

라다나(ratna) : 본래, 보물, 보석 등의 의미. 보물, 보석 등은 가장 훌륭한, 가장 으

뜸가는 최상(最上)의 의미로 해석

다라야야(trayaya) : 보호자의 의미로 관세음보살님을 의미

 

나막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 모지사다바야 마하 사다바야 마하가로 니가야

- 거룩하신 관세음보살님, 대자대비하신 관음보살님께 귀의합니다

 

나막(nama) : 나모와 같은 뜻

알약 바로기제 새바라야(arya valokite svaraya) : 관세음보살님의 본명

모지사다바야(bodhisattvaya) : 보살의 원음

마하사다바야(mahasattvaya) : 마하살, 큰보살의 의미

마하가로니가야(mahakarunikaya) : 대자대비의 뜻

 

옴살바바예수 다라나가라야 다사명 나막까리다바 이맘알야 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 옴 일체의 공포로부터 지켜주시는 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께 귀의하오니, 거룩하신

위신력이 펼쳐집니다.

 

(aum) 옴마니 반메 훔에서 자세히 설명됩니다. 옴은 A.U.M 의 뜻으로 시작과 과

정과 끝을 의미하는 우주의 본직을 뜻하는 가장 기본적인 진언입니다.

살바 : 일체의 뜻

바예수 : 공포, 두려움

다라나 : 보호, 피난처, 구제제도

가라야 : 고난

다사명 : 구한다 제도한다. 일체의 공포로부터 지켜주시는.

나막 : 나모와 같은 뜻

까리다바 : 위엄이 있는 사람, 힘이 있는 사람

이맘 : 성인

알야바로기제 새바라 다바 : 관자재보살의 위력(성스러운 관자재보살님의 위신력이 펼쳐진다.)

 

니라간타 나막하리나야 마발다 이사미

- 관세음보살님의 근본심으로 돌아가옵니다

 

니라 : 푸른 빛

간타 : 머리([푸른 머리를 지닌 관세음보살님)

나막 : 귀의

하리나야 : 마음에 접촉되다(心觸)

마발다 이사미 : 회귀한다. 돌아온다

 

살발타 사다남 수반아예염 살바보다남 바바말아 미수다감 다냐타

- 모두를 이롭게 하는 경지를 성취할 것이며, 최고 행운의 경지에 올라 세상 모든 중생을 정도로 이끌어 청정공덕의 길로 나아가겠습니다

 

살발타 : 모두를 이롭게 하다

사다남 : 성취 완성하다

수반 : 길상, 행운

아예염 : 최고의

살바보다남 : 일체 생물

바바 : 탄생

말아 : , 통로, 정토

미수다감 : 청정공덕

다냐타 : 나아간다

 

옴 아로계 아로가 마지로가 지가란제 혜혜하례

- , 통찰자이시며 지혜의 존재이시며 초월자이신 관세음이시여,

끊임없이 정진하겠나이다. 따르겠나이다

 

아로계 아로가 : 관찰자

마지 : 지혜

로가 : 존재, 국민, 사람

지가란제 : 초월

혜혜 : 따르다

하례 : 오르다

 

마하모지사다바 사마라 사마라 하리나야

- 대보살님이시여 기억해 주소서 항상 마음에 새겨 주소서

 

마하모지사다바 : 대보살님

사마라 : 기억하다

하리나야 : 마음에 새기다

 

구로구로 갈마 사다야 사다야 도로도로 미연제 마하미연제 다라다라

- 속히 악업을 그치겠나이다. 위대한 승리자이신 관세음이시여,

항상 우리를 기억해주소서

 

구로 : 나쁜

갈마 :

사다야 : 승리자

도로 : 선장, 수장

미연제 : 승리하다

마하미연제 : 크게 승리하다

다라 : 기억한다

 

다린나례 새바라 자라자라 마라 미마라 아마라 몰제 예혜혜

- 옹호자이시며 자재자이신 관세음이시여 일체 번뇌로부터

해탈하신 관세음이시여 어서 빨리 강림하소서

 

다린나례 : 옹호하는 주인,

새바라 : 자재자

자라자라 : 행동하다

마라 : 번뇌

미마라 : 더러움을 없앤다

아마라 : 더러움을 없앤 자, 해탈자

몰제 예혜혜 : 속히 어서 빨리

 

로계 새바라 라아 미사미 나사야 나베 사미사미 나사야 모하자라 미사미 나사야

- 세간의 자재자이신 관세음보살이시여 탐욕의 독심을 잠재워주소서.

진심의 독심을 잠재워 주소서. 치심의 독심을 잠재워 주소서

 

로계 : 세간, 세상

새바라 : 자재자

라아 : 욕망, 탐욕

미사미 : 독심

나사야 : 잠재우다

나베 : 진심

사미사미 : 독심

나사야 : 잠재우다

모하자라 : 치심, 우치심, 무명

 

호로호로 마라호로 하례 바나마 나바 사라사라 시리시리

소로소로 못쟈못쟈 모다야 모다야

- 관세음이시여 공포를 제거하여 주소서. 속히 제도하여 주소서.

나아가게 하여 주소서. 깨달음을 얻게 하소서

 

호로호로 : 공포, 두려움

마라 : 번뇌

하례 : 제거하다

바나마 : 연꽃

나바 : 중심(바나마 나바 : 연화성존(聖尊))

사라 : 제도하다

시리 : 나아가다

소로 : 펼치다

못쟈 : 깨달음의 성자

모다야 : 보리도

 

매다리야 니라간타 가마사 날사남 바라 하라나야 마낙 사바하 마낙 사바하 싣다야 사바하

- 관세음이시여 어여삐 여기시어 애욕을 파하도록 힘을 주소서. 성취케 하소서

 

매다리야 : 어여삐 여기소서

니라간타 : 관세음보살, 청경성존

가마사 : 애욕

날사남 : 파하다. 부수다

바라 하라나야 마낙 : 분발케하다

사바하 : 길상, 서상

싣다야 : 성취

사바하 : 길상있으라

마하 싣다야 사바하(대성취존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마하 : 크다

싣다야 : 성취, 달성

 

싣다유예 새바라야 사바하

- 요가자재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싣다 : 싣다야와 같은 뜻

유예 새바라야 : 요가의 성취자

니라간타야 사바하(청경존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니라간타야 : 청경존(靑頸聖尊; 시바 신))

 

바라하 목카싱하 목카야 사바하

- 동물을 제도키 위해 동물모양을 한 관세음보살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바라하 : 돼지

목카 : 모습

싱하 : 사자

바나마 하따야 사바하(연꽃을 지니신 관음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바나마 : 연꽃

하따야 : 지니다

 

자가라 욕다야 사바하

- 큰바퀴를 드신 관음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자가라 : 큰수레바퀴

욕다야 : 구족하다

상카섭나녜 모다나야 사바하(법소리움으로 깨닫게 하시는 관음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상카 : 소라

섭나녜 : 소리

모다나야 : 보리(깨달음)

 

마하라 구타다라야 사바하

- 큰 병을 지니신 관음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마하라 : 크다

구타 :

다라야 : 지니다

 

바마 사간타 이사시체다 가릿나 이나야 사바하

- 오른쪽 어깨에 검은 서상을 하신 관음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바마 : 오른손

사간타 : 어깨

이사 : 방향

시체다 : 서있다

가릿나 : 검은색

이나야 : 깨달은 자, 여래

 

먀가라잘마 이바사나야 사바하

- 호랑이 가죽 옷을 두른 관음이시여 성취케 하소서

 

먀가라 : 호랑이

잘마 : 가죽

이바사나야 : 의복

 

나모라 다나다라 야야 나막알야 바로기제 새바라야 사바하

- 가장 거룩한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합니다. 거룩하신 관세음보살님

대자대비하신 관세음보살님께 귀의합니다

 

나모 : 귀의

라다나 : 보배

다라야야 : 보호자

나막 : 귀의, 나모와 같은 뜻

 

알야바로기제 새바라야 : 관세음

 

 

- 고려백자를 굽던 중 불꽃형상으로 오신 관세음보살.

어머니가 다라니를 평생 외우셨으니 보살께서 인도하여 주소서.

 

* 관세음보살을 신앙하는 사람들이 꼭 알아야할 진실

- 사실 관세음보살이란 역사적 인물이 아니다. 실존하지 않는 상상의 개념이다.

보살 신앙은 상좌부 중심의 교단에 대한 반발로 대승불교가 일어나면서 힌두교에서 받아들인 철학적 개념으로 보면 된다.

다만 상좌부(테라와다)가 섬기는 석가모니와 10대 제자, 500아라한 대신 아미타불, 비로자나불 등 수십 명의 부처를 만들어내고, 10대 제자와 아라한을 묶어 신중단이나 나한전에 던져버리고, 석가모니를 힌두 신들로 포위시켜 버린 대승불교(마하야나)의 잘못은 따로 지적받아야 한다.

대승불교의 석가모니는 힌두신들에게 완전히 포위되어 있는 형국이고, 정작 석가모니를 모시던 10대제자와 500아라한은 그 곁에 있지 못한다. 멀찍이 떨어뜨려 놓아 불자들은 이들의 존재와 가치조차 제대로 알지 못한다.

나는 대승의 보살 신앙은 거부하지만, 이 또한 역사려니 여긴다.

특히 어머니가 평생 관세음보살을 염원하셨으니 이를 존중한다.

어머니 안에 관세음보살이 늘 계셔서 그 천(千) 손 그 천 눈으로 자식들을 길러주시고 보살피셨던 것이라고 이해한다.

사랑하는 이들이여, 스스로 관세음보살이 되어 인류에 이바지할지언정 있지도 않은 관세음보살에게 빌거나 매달리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