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파란태양/전원 이야기

[스크랩] 식물은 동물보다 더 진화한 생명체인가?

단세포인 박테리아는 35억년 전에 출현하여 25억년 전에 확산되었다. 그러다 17억년 전에 단세포와 단세포가 합쳐지는 다세포화가 이뤄진다. 그렇게 10억 년이 지난 7억년 전, 마침내 동물이 발생한다. 그런데 이로부터 2억년이 지나야 식물이 나타난다.


식물이나 동물이나 호흡을 해서 살아간다는 점에서는 같은 생물이다. 그런데 식물이 더 늦게 나타난 것은, 진화 과정에서 더 안정적으로 살 수 있는 길을 모색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식물은 여기저기 돌아다니지 않아도 한 자리에 고정되어 가족과 함께 살 수 있고, 물과 햇빛만으로 얼마든지 살아갈 수 있다. 동물의 수명과는 비교가 되지 않을만큼 길다.(물론 영원히 죽지 않는 해파리가 있다. 늙으면 도로 아기해파리가 되어 일생을 새로 시작한다. 물론 영생하는 단세포처럼 생존조건이 나쁘면 죽는다.)


- 4800살의 브리슬콘소나무, 캘리포니아, 미국


식물은 수천 살을 살아내는 사례가 많다. 화재가 나지 않으면 몇 백년, 몇 천년의 수명은 보장되는 셈이다. 뿌리를 보전하여 무한 반복하여 재생되기도 한다.

그것은, 동물은 풀이든 열매든 고기든 꾸준히 먹이를 찾아야 하지만, 그러다 먹이를 찾지 못하면 굶어죽지만 식물은 그럴 걱정이 매우 적다. 물과 햇빛만 있으면 생존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사실 햇빛과 이산화탄소는 무진장하니 걱정할 일이 아니다. 더러 물이 적으면 선인장으로 변하고, 햇빛이 적으면 음지식물로 변하여 생명을 연장하기도 하니 사실상 걱정이 없는 셈이다.


이런 이유로 식물은 살아남아야 한다는 목표를 가진 생명체로서는 최적의 조건을 갖춘 셈이다.

인간도 이처럼 식물같은 삶을 살기 위해 금전을 모으고, 큰 집을 짓는다. 마치 영원히 살 것같은 마음으로 수백년간 일하지 않고도 먹을거리를 댈 수 있는 커다란 부(富)를 상상하기 때문이다. 돈이란 곧 물과 햇빛 같은 존재이기 때문이다.


인간은 비록 만물의 영장이라고 하지만 오늘날에도 오직 생존을 위해 몸부림을 친다. 핵무기를 만들고 전쟁을 하는 것은 생존을 보장받기 위한 것이다.

식물도 더 안정적인 생존을 위해 다른 식물이 가까이 오지 못하도록 공격하는 시스템을 갖춘 경우도 있고, 더 키를 키워 키 작은 식물을 도태시키기도 하지만 동물들이 서로 잡아먹는 것만큼 격렬하지는 않다.


따라서 동물이 사라진다고, 특히 인류가 멸종된다고 해서 생명이 사라지는 건 아니다. 인간만 생각을 한다고 생각하면 안된다. 식물도 생각을 할 수 있고, 존재를 자각할 수 있다. 곤충을 잡아먹거나 남의 식물에 기생하여 살아가기도 한다. 식물에도 신경전달물질이 있으며, 6주간 생존하는 겨자는 뿌리 쪽에 스타톨리스라는 뇌가 있다는 사실까지 연구되었다. 메이애플이란 식물은 2년간의 기후를 계산하여 성장계획을 세우기도 한다. 가스 등을 배출하여 다른 식물과 소통하기도 한다. 다만 식물의 생존 조건 상 복잡한 계산이 필요없어 인간이나 동물같은 두뇌는 필요하지 않을 뿐이다.

<숲과 들에는 종종 불이 난다. 누군가는 불이 나기를 애타게 기다린다>


* 재미있는 나무 이야기


◎가장 오래산 나무


미국 서부 네바다산맥의 고지에서 발견된 4,862살의 소나무라고 한다(위 사진). 정말 어마어마하게 오래 살았다. 

미국 캘리포니아주(California)의 세쿼이아 국립공원에 있는 일명 '자이언트 레드우드'라고 불리는 아메리카삼나무는 약 3,000살, 키는 약 84m, 지름 11m, 둘레 31m다.적갈색인 이 나무는 껍질 두께가 61㎝이며 무게는 뿌리를 포함해서 약 2,000톤으로 추정된다. 수많은 사람들이 이 나무를 보기 위해 이곳을 찾는데, 레드우드 방문센터에서는 나무를 보호하기 위해 매년 6월 15일부터 9월 1일까지 하루 두번씩 45인승 버스를 운행하여 하루에 90명만이 이 나무를 볼 수 있고 그 밖의 계절에는 하루에 25대의 승용차 방문만을 먼저 오는 순서대로 허용하고 있다고 한다


◎ 세상에서 가장 큰 나무


미국 캘리포니아주 세콰이아 국립공원에 있는 아메리카삼나무 키는 약 84m, 지름 11m, 둘레 31m다. 적갈색인 이 나무는 껍질 두께만 61cm이며 무게는 뿌리를 포함해서 약 2천 톤으로 추정된다. 나이는 약 2,100살. 제네럴 셔먼(셔먼 장군)이라는 별칭을 지니고 있다. 같은 공원 안에 제네럴 그란트(그란트 장군)라는 별칭의 거대한 나무도 있는데, 이 나무는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큰 나무로 알려져 있다. 참고로 세콰이아는 미국 캘리포니아 원산 삼목과(科)의 거목을 가리키는 말로, big tree(세계수), redwood(미국 삼목)의 2 종이 있다. 본래는 체로키cherokee 문자를 고안한 아메리카 인디언을 가리키는 말이다. 요컨대 Sequoya인디언.


◎ 키가 제일 큰 나무


현재 살아있는 나무로는 미국 캘리포니아주 레드우드 국립공원의 아메리카삼나무인데, 키는 약 1백11m, 나이는 600살 이상이라고 한다. 1963년에 National Geographic Society에서 높이를 측정하여 세계 최고의 나무로 인정되었지만 1990년대 초에 꼭대기 부분이 부러졌고, 결국 1995년에 다시 높이를 측정했다. 그 결과 1963년 당시에는 세계 최고가 아니라 세 번째로 큰 나무였음이 밝혀졌다. 물론 지금은 가장 키가 큰 나무이다. 한편 호주 바우바우산의 유칼리나무는 1885년 당시 1백43m였다고 한다.


◎ 가장 무거운 나무

 미국 캘리포니아주 세콰이아국립공원에 있는 아메리카삼나무 '제네럴 셔먼 트리(셔먼장군나무)'의 몸무게는 얼마나 될까? 2톤 무게의 코끼리 1000마리를 합친 2000톤이다. 키는 82.4m, 둘레는 31m, 껍질의 두께만 61cm라고 하니 지구상에서 가장 거대한 생명체라고 할 수 있다


◎ 가장 넓은 땅을 뒤덮고 있는 나무


인도 캘커타 인도식물관에 있는 약 210년생 반얀나무인데, 약 1.2 헥타르를 뒤덮고 있으며 1,775 개의 버팀목이 받치고 있다.


◎ 둘레가 가장 긴 나무


이탈리아 시칠리아의 에트나산에 있는 유럽밤나무. '1백마리 말의 나무'라는 별칭을 지니고 있는 이 나무의 둘레는 약 58m.


◎ 가장 키가 작은 나무


아메리카삼나무처럼 빌딩 만한 나무도 있지만 '이게 풀이지 나무야?'라고 의심될 정도로 키가 작은 나무도 있다. 바로 시베리아, 캄차카 반도, 우리나라 제주도 등에서만 드물게 발견되는'돌매화나무'. 돌매화나무는 세상에서 가장 키가 작은 나무다. 보통 1.2cm 밖에 자라지 않는다. 하지만 부름켜가 있어 계속 자라며 몇 해를 사는 '당당한'나무다.


◎ 가장 빨리 자라는 나무


말레이시아의 사바 지방에 있는 '알비치아 팔커타'란 나무는 13개월 동안 약 10.7m가 자랐다는 기록이 있다. 열대 기후 속에서 1년에 10m 가까이 자란 셈이다. 참고로 가장 빨리 자라는 식물은 '제네라대나무'로서 하루에 93cm나 자랐다는 기록이 있다.


◎ 가장 느리게 자라는 나무


100년을 넘게 살아 온 노인이 평생 동안 지켜봐도 키가 그대로인 나무가 있다. 멕시코에 있는'디운에듈'이란 나무는 1년에 평균 0.76mm 밖에 자라지 않는다. 100년 동안 8cm도 자라지 않는 셈. 우리나라의 회양목도 아주 느리게 자라는 나무로 300년을 자라도 그 두께가 20cm도 안 된다고 한다.


◎ 세계에서 가장 큰 열매를 맺는 나무


겹야자나무의 열매는 길이가 평균 45cm, 무게는 13~30kg이다. 열매를 맺는 데 무려 10년이 걸린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열매를 맺는 나무는 모과나무다.



◎ 세계에서 가장 나무가 많은 곳


아마존 숲의 면적은 600만㎢로 우리나라 숲 넓이의 94배다. 한 해 2000mm 이상의 비가 오고 기온이 높아 나무가 살기엔 최고의 조건인 이 곳은 지구에 필요한 산소의 3분의 1을 공급해 주는'지구의 허파'다. 하지만 산업이 발달하면서 아마존 숲은 파괴되고 있어 1960년부터2000년까지 40년 동안 한반도의 8배 넓이의 숲이 사라졌다고 한다.


출처 : 바이오코드연구소
글쓴이 : 이재운1045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