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재운 작품/태이자 우리말 사전 시리즈

"한자 발음이 단음이므로 우리 민족 발명"이라고 우기는 사람

우리나라의 한자 발음은 단음이다. 雪은 설이고 北은 북이듯이.

그런데 중국은 雪을 술에, 北을 베이로 읽는다.

이를 두고 한 방송에 나온 모 교수란 자가 "이게 바로 한자를 발명한 민족이 동이족이라는 증거"라고 침 튀기는 걸 보았다.

무식하면 용감하다고 한다.

천만의 말씀이다.


한자어 발음은 춘추전국 시대만 해도 중국 내 여러 나라의 발음이 달랐다. 문자 모양도 크게 달라 서로 소통이 되지 않았다. 갑골 문자 보면 모르는가. 

이를 통합 진(秦)나라가 전서(篆書)로 통일하면서 발음까지 표준화를 선언했다. 이후 진나라, 당나라 시기에 중국 한자가 한반도로 들어오는데 당시 발음이 오늘날의 우리 발음과 비슷했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삼국 시대에 들어온 중국 한자 발음이 오늘까지 이어지고, 중국은 숱한 전쟁과 이합집산을 거치면서 발음이 큰 변화를 겪어 오늘에 이르렀다.


* 나라 ; 중국 통일 왕조를 우리는 진나라, 명나라, 한나라로 표기한다. 하지만 중국은 나라에 國 자를 쓰지 않는다. 그냥 秦이고 明이고 漢이다. 단음으로 부를 수 없어 그저 나라라고 붙여줄  뿐이다. 하늘 아래 땅은 다 차지했다는 오만한 사상이 깃들어 있어서 그렇다. 

國은 제후국 정도였다. 즉 楚 齊 淵 정도가 國이다. 晉이 갈라져 나온 魏 趙 韓은 국도 못되고 家였다.


이는 마치 일본으로 들어간 고구려나 백제의 말이 옛 발음 그대로 남아 있지만 우리는 그 말을 쓰지 않고 한자어를 대신 쓰는 것과 같다.

한자 안써도 된다. 다만 다듬어 쓰자. 우리말 찾아 쓰자. 일부러 어려운 한자어 쓰지 말고 쉬운 우리말 찾아 쓰는 노력을 하면 된다. 

우리나라 석사, 박사 학위 논문 보면 죄다 한자어 투성이다. 쓰레기에 쓰레기를 쌓을 뿐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한글과 우리말을 천대하고 어떻게 이 나라의 학문이 바로 설 수 있겠는가. 제발이지 석사 박사 논문에서 한자를 날로 쓰는 짓 좀 하지 말기 바란다. 그런 논문은 중국에서도 못쓰고 일본에서도 못쓴다. 참고 자체가 안된다. 도서관에 한 번 납품하면 먼지 뒤집서 쓰다가 세월에 썩는다. 한국에 약 1만 5천 명의 박사가 있다고 한다. 그런데 노벨상 하나 못받는다. 경제대국 중에서 우리나라처럼 노벨상 못받는 나라가 없다. 특이한 나라다. 바로 우리말 무시해서 그렇다고 나는 판단한다. 

지금이라도 도서관에 쌓인 논문 한번 뒤져보라. 시커먼 한자 투성이다. 

우리말로 좀 쓰시라. 

우리말 몰라서 한자어 굳이 쓰는지는 모르겠는데, 대체 누굴 위해 논문 쓰는 건가?


- 나는 1983년에 석사 논문을 썼는데, 그때 본문은 대부분 한자로, 

토씨만 한글로 적으라고 해서 그렇게 했었다. 그런데 아직도 그런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