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사전을 만들어 오면서 늘 사진을 싣지 못해 섭섭했다. 언제고 사진과 그림을 넣은 사전을 내고 싶다.
오늘 텃밭에서 자라는 달래에 씨앗이 길게 자라났길래 사진을 찍었다. 섬세하다의 섬이 이 달래와 부추 등의 꽃줄기를 가리킨다. 이 꽃줄기가 1미터쯤 된다. 섬세하다의 세는 누에고치에서 뽑은 실이다. 둘 다 가늘다는 뜻이다. 섬세하다는 매우 가늘다는 뜻이다.
* 섬세하다의 섬(纖), 달래 꽃줄기. 씨앗을 멀리 퍼뜨리려고 2-3mm 정도로 가늘고 높이 자란다. 섬세하다의 세(細), 누에고치 실. 굵기는 1000분의 10mm이다. 이처럼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 한자어를 모아 만든 사전이 <~우리 한자어 사전>이다.
'이재운 작품 > 태이자 우리말 사전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신교 하나님은 '우주에서 유일하여 하나님'이 아니다! (0) | 2020.07.23 |
---|---|
침방울을 굳이 비말이라고 하고 싶은가? (0) | 2020.06.24 |
김정은이 머문다는 특각, 대체 무슨 집인가? (0) | 2020.06.04 |
75회 고운 눈썹을 아미라고 한다. 아미가 뭔데? (0) | 2020.06.03 |
74회 소극적이다? 뭘 어떻게 해야 소극적일까? (0) | 2020.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