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운 작품/태이자 우리말 사전 시리즈 (502) 썸네일형 리스트형 맛있다 우리말을 찬찬히 들여다보면 감각 묘사에서 상당히 부족한 면이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시각, 청각, 촉각, 미각, 후각 중에서 시각, 청각, 촉각은 매우 발달했지만 미각, 후각은 원시적이라고 할 만큼 단순하다. 물론 이런 현상은 우리말만의 문제는 아닐 것이다. 인류의 진화 과정에서 시각.. 전동국대교수? 2007/09/23 (일) 17:56 요즘 뉴스를 가장 많이 생산하는 신정아 씨를 가리킬 때 많은 언론이 아직도 '신정아 전동국대교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신정아 씨는 임용 자체가 취소되고, 교수 경력 자체가 무효이므로 '전동국대교수'가 될 수 없다. 굳이 동국대교수라는 어휘를 끌어다쓰고.. 양심적 병역 거부? 말은 의식을 담는 도구다. 그래서 어떤 어휘를 쓰느냐에 따라 듣는 이의 반응이 달라진다. 이런 의미에서 브랜드 가치도 생긴다. 여러 해 전부터 양심적 병역 거부란 용어가 뉴스에 등장했다. 양심있는 사람은 병역을 거부하고, 양심없는 사람은 군대를 가는 것같은 묘한 분위기를 .. 쓰지 말아야 할 비유 몇 가지 이젠 쓰지 말아야 할 비유(한때는 숙어였지만)가 있어 몇 가지 적어보겠다. 법원이나 검찰 용어, 공무원 용어에는 무슨 말인지 도저히 알 수 없는 끔찍한 말이 수없이 많지만 내게 직접 피해를 안입히니 저희들끼리나 고생하라고 내버려 두련다. 지들 머리 터지지 내 머리 터질까. 1.. '밝혀지다'와 '드러나다'의 차이 한자어에는 음양이 많이 표현된다. 그래서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 한자어 1000가지'를 쓰면서 그런 어휘를 따로 조사해보았다. 오늘날 우리는 한자어 의미의 절반 정도만 쓰고 있어서 안타깝다. 이처럼 우리 말에도 음양이 있는 경우가 적지 않다. 주인공과 장본인을 예로 들.. '안전사고'는 없다 내가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시리즈를 시작한 12년 전부터 줄기차게 강조해온 게 하나 있다면 박카스라는 제품이 내거는 '피로회복'(광고책임자 유충식. 이런 이름은 꼭 기록을 남겨야 해)이라는 말을 몰아내는 일이었다. 피로하지 않은 사람이 피로해지는 게 피로회복이다. 그.. 언론에서 승려를 부르는 호칭 2007/09/11 (화) 20:06 사회가 다변화되다 보니 승려들의 사회 진출도 많아지고, 따라서 뉴스거리도 자주 만들어낸다. 시위 사진에도 끼어들고, 정당 행사에도 끼어들고, 언론에도 자주 나온다. 요즘 잘 나오는 '장윤'도 그렇다. 그런데 '장윤'을 어떻게 불러야 하나. 기독교의 목사, 천.. 한자 모르고 쓰는 우리말은 암호문? 내가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 한자어 1000가지>를 쓴 것은 한자가 우리말의 기본 바탕에 깔려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자 교육을 시키지 않다보니 실제 우리말에 담긴 의미를 50% 이하로만 서로 주고받기 때문이었다. 남은 50%는 그냥 군더더기로 쓰레기나 먼지처럼 따라다닐 .. 이전 1 ··· 57 58 59 60 61 62 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