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운 작품/태이자 우리말 사전 시리즈 (502) 썸네일형 리스트형 얼마나 굶어야 굶었다고 하나 *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우리말 백과사전>/근간/책이있는마을 ... 하루 1800칼로리 이하로 섭취하는 사람을 기아, 즉 굶는 사람으로 분류한다. 기아의 기준인 1800칼로리는 일반인들의 다이어트 기준 최소 열량이기도 하며, 성인이 건강을 위해 소식을 할 때 최하 섭취 기준으로 삼는 목..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우리말 백과사전>을 만든 이유 *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우리말 백과사전/근간/책이있는마을 나는 대학에서 소설 창작을 공부하고 대학원에서는 시론을 공부했다. 초급 과정에서는 김동리 선생으로부터 정확한 단어와 문장을 만드는 법을 반복해서 배웠다. 서정주 선생과 구상 선생도 시와 시어를 가르쳐주셨다. 그때 김.. 아직 멀고 먼 한국 시의 현주소 오늘 한 신문 기사에 올라온 짧은 시 한 편을 읽다가 그냥 넘어갈 수 없어 여기 옮기고 몇 마디 한다. 농부의 아들로 태어난 한 교사가 20년간 타향살이를 하다가 늘그막에 고향에 다시 돌아와 느낀 감회를 적은 시로 보인다. - 어느날이었다./ 산 아래/ 물가에 앉아 생각하였다./ 많은 일들.. 우리말은 문학언어, 학술언어가 될 수 있을까? 1980년대까지 푸른 신호등을 가리켜 '파란불'이라고 적는 언론, 작가, 시인들이 많았다. 그때 내가 처음 '초록불'이라는 단어를 만들어 10만 부 이상 팔리는 어린이용 책에 잇따라 썼다. '푸른불'이라고 하면 더 좋은데 발음 가치가 떨어져 일부러 초록불이라고 만들었다. 1990년대 초, 어느 이.. 숫자와 수효 우리 국민 99%가 틀리게 쓰는 표현이 있는데 그 하나는 시간과 시각이고, 또 다른 하나는 숫자와 수효일 것이다. 양을 가리킬 때는 시간이고, 어느 한 지점을 가리킬 때는 시각이다. 그래서 "지금 시간은 오후 1시입니다."가 아니라 "지금 시각은 오후 1시입니다."라고 해야 한다. 하지만 아.. 강황과 울금의 차이를 보는 여러 가지 주장 강황과 울금은 같은 듯 다르고, 다른 듯 같은 식물이다. 한국과 중국에서 큰 혼란이 일어나고 있다. 한의학 때문이다. 일단 생강목 -> 생강과 -> 강황속 -> 여기에 강황과 울금이 있다. 내가 보기에는 아열대에서는 얼어죽을 염려가 없으니, 덩이뿌리(구근)가 굵게 자랄 필요가 없어 .. 표지가 나오다 *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우리말 백과사전/근간/책이있는마을 무뇌증은 뇌가 없다는 말이 아니다 소아질병 중에 무뇌증이라는 게 있다. 번역이 잘못됐다. 대뇌가 없다는 뜻이지 뇌간은 존재한다. 뇌라고 하면 대뇌, 변연계, 뇌간, 소뇌 등이 있다. 따라서 오역하느니 애넨세펄리(Anencephaly)라고 바로 부르는 게 낫다. 어려운 말로 신경관결손증이라고도 하는데, 대뇌가 없다는 걸 나타내기..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63 다음